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5.27 09:08 수정 : 2007.05.27 09:08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보복폭행 사건 늑장 수사 의혹과 관련해 경찰이 서울경찰청 수사부장과 남대문 경찰서장을 수사의뢰하면서 검찰 수사의 향배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수사라인 핵심 간부 2명이 수사 의뢰되긴 했지만 검찰이 외압 의혹을 낱낱이 파헤칠 경우 수사 대상이 전방위로 확대될 가능성이 커 경찰 조직 전체가 검찰 수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검찰 수사에서 경찰 간부들에게 수 차례 청탁전화를 한 최기문 전 경찰청장과, 그와 전화 통화하고 만난 홍영기 전 서울경찰청장의 검찰 소환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들 2명 외에 최악의 경우 이택순 경찰청장까지 검찰 조사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경찰 주변에서는 2000년 이후 피의자 또는 참고인 신분으로 검찰에 불려나온 전현직 경찰 총수들의 소환 악몽이 재연되지 않을까 바짝 긴장하고 있다.

1987년 발생한 `수지김 피살사건'에 대한 경찰의 내사 중단을 주도한 의혹을 받다 2001년 기소된 이무영 전 청장은 검찰에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돼 구속됐다.

전직 총수 신분이긴 했으나 경찰청장 재직 때 여러 개혁 성과를 내놨던 이 전 청장이 검찰에 처벌되면서 경찰조직이 크게 동요했다.

이무영 전 청장은 2003년 9월 대법원에서 무죄가 확정돼 누명을 벗었으나 수사 과정에서 훼손된 명예를 회복하기엔 역부족이었다.


이무영씨에 이어 청장직을 이어받은 이팔호 전 청장도 비록 참고인 신분이긴 했지만 검찰에 소환된 적이 있다. 이팔호 전 청장은 2004년 4월 최성규 전 경찰청 특수수사과장의 개인 비리 및 해외도피 배후의혹 수사와 관련해 참고인으로 불려나와 조사를 받아야 했다. 이팔호 전 청장은 처벌되지는 않았다.

경찰의 2인자격인 최광식 전 경찰청 차장은 법조브로커 윤상림씨 비리 사건에 연루돼 작년 4월 불구속 기소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최 전 차장은 검찰 소환을 앞두고 수행비서가 스스로 목숨을 끊고, 경찰과 검찰의 조직간 갈등까지 촉발했으나 결국 개인 비리 혐의로 기소돼 낙마했다.

2000년대 이전에도 치안총수들이 처벌된 적이 여러 차례 있다.

5공 이후만 해도 염보현, 강민창, 이인섭, 김화남, 박일룡씨 등 5명이 퇴임 후 구속됐다.

1993년에는 기흥 골프장 경영권 변칙 양도 사건으로 당시 경우회장인 박배근씨 등 6명의 치안총수가 출국금지를 당하거나 검찰 조사를 받는 수모를 겪었으며 1980년 치안본부장을 지낸 염보현씨는 1988년 시장 재직시 공원공사와 관련 수뢰 혐의로 형사처벌됐다.

강민창씨는 1987년 박종철군 고문치사 사건과 관련해 사건 은폐혐의가 드러나 구속됐다. 강씨는 이 과정에서 `탁 치니 억 하더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이인섭씨는 문민정부 출범 직후 슬롯머신업자 및 경찰간부 등에게서 뇌물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 구속됐고, 김화남씨는 1996년 총선 출마과정에서 선거법 위반 혐의로 처벌됐다.

문민정부의 `실세 청장'이었던 박일룡씨도 안기부 1차장 재직시 북풍 사건 연루 사실이 드러나 1998년 구속됐다.

조성현 기자 eyebrow76@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