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7.05.27 21:44
수정 : 2007.05.27 21:44
‘병역특례’ 4급이상 공직자 아들 절반
병역특례요원으로 복무 중인 4급 이상 공직자들의 아들 절반 이상이 전공과 무관한 업체에서 일하고 있거나 특정업체에 몰려 있는 것으로 드러나 비리 의혹이 커지고 있다.
27일 최근 병무청이 공성진 한나라당 의원에게 낸 ‘병역사항 공개자 직계비속 중 산업기능요원 복무자 명단’(2007년 5월1일 기준)을 보면, 병역특례업체에 근무 중인 4급 이상 공직자 및 기초의원 아들 78명 가운데 46명(58%)이 현재 다니는 회사의 업무 성격과 전혀 무관한 전공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24명은 정보처리기사 등 관련 자격증조차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병역특례 비리를 수사 중인 서울동부지검 한명관 차장검사는 “병역특례업체에서 요원을 뽑을 때, 자격증과 실력테스트를 하기 때문에 비전공자를 채용한다는 것은 아주 이례적인 일”이라며 “계좌추적 영장 등을 청구해 집중 수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정보처리기사 등 자격증만 가지고는 소프트웨어 개발과 같은 전문적 업무를 하기 어려운 만큼 비리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또 컴퓨터 프로그램 개발을 하는 서울지역 병역특례업체인 ㄴ사와 ㄱ사에 고위공직자 아들이 각각 4명과 2명씩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구선수 10명을 채용해 지정업무 대신 축구를 하게 해 대표이사가 입건된 ㅇ사에도 고위 공무원 아들이 복무 중이다.
한편, 검찰은 최근 대검찰청 회계분석팀 수사관 3명을 파견받아 계좌추적 및 자료 분석 작업에 주력하고 있으며, 수사팀은 서울동부지검 형사6부와 수사과, 대검 지원 인력 등 모두 50여명 규모로 늘어났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