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7.05.28 19:30
수정 : 2007.05.28 19:30
|
상지학원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와 ‘민주화를 위한 전국 교수협의회’ 등이 28일 서울 중구 정동 세실레스토랑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김한성 전국교수노동조합 위원장(오른쪽에서 두번째)이 지난 17일의 대법원 판결을 비판하며 덕망있는 이들을 상지대 재단의 정이사로 선임할 것을 촉구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
상지학원 비대위 기자회견
강원 원주 상지대 법인인 상지학원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와 민주화를 위한 전국 교수협의회, 민주적 사법개혁을 위한 국민연대 등은 28일 서울 정동 세실레스토랑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대법원의 보수적 판결로 정이사가 자격을 잃어 상지대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교육인적자원부에 “덕망 있는 이들로 조속히 정이사를 선임할 것”을 촉구했다.
상지대 교수협의회, 총학생회, 직원 노조, 설립자 가족 등으로 구성된 비대위는 “대법원 판결은 정이사 선임 절차의 잘못만을 문제삼고 있다”며 “상지대는 이미 2004년 정상화했기 때문에 현행 사립학교법에 따라 정이사를 조속히 임명하면 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김문기 전 이사장이 이사 선임에 개입하려는 것과 관련해 “그는 각종 학교 비리를 저질러 학교에 해만 끼쳤다”며 “사학법이 정이사 선임 때 협의하도록 한 ‘상당한 재산을 출연하거나, 학교 발전에 기여한 자’로 볼 수 없다”고 말했다.
비대위가 공개한 김 전 이사장의 출연금은 8억4천여만원에 그친 반면, 검찰 수사와 교육부 감사에서 확인된 비리 금액은 23억2천여만원이나 됐다. 상지학원의 전신인 청암학원 설립자인 고 원홍묵씨의 장남 원지영(44) 성애원 원장은 기자회견에서 “1974년 김 전 이사장에게 강탈당하다시피 설립자 지위를 넘겨준 뒤 2004년에야 바로잡혔는데, 다시 이런 사태가 터져 착잡하다”고 말했다.
현철환 교육부 사립대학지원과 서기관은 “정이사를 선임할지, 임시이사를 보낼지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며 “되도록 빨리 학교를 정상화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