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5.29 16:53 수정 : 2007.05.29 16:53

누군가의 목적에 의해 만들진 정보로 그것을 접한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 광고입니다.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기술 중에서 안전을 위협하는 기술을 이른바 '공포마케팅'이라 합니다. 이것은 사람의 무의식적 불안을 자극하면서 공포를 포장하는 기술을 갖춘 상인들이 만들어 내는 마케팅 기술입니다. 살면서 이들의 기술에 속아보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요.

요즘은 정치인과 언론도 '공포마케팅'기술이 뛰어납니다. 상업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공포마케팅' 광고는 판단의 여지라도 주는데 반해, 이들이 만들어 내는 공포는 교묘히 사람의 판단을 흐리게 합니다. 사태의 전후본말(前後本末)에서 자신들에게 불리한 사실은 가리기 때문이지요. 이들은 계속적으로 공포의 힘을 토대로 자신들의 실권을 찾으려 하고, 그 권리를 누리려 할 것입니다.

이들은 몇가지 기술로 우리를 속입니다. 발언 내용의 타당성과 상관없이 말을 잘하고 높은 직함을 가진 권위자 혹은 전문가를 등장시키고, 이어서 대중의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보통 사람을 등장시키는 것이 그 첫번째 기술입니다. 대표적인 예가 '금강산댐사건'이 아닌가 싶습니다. 전문가가 TV에 출연해 '서울물바다그림'을 그려가며 공포를 극대화 시키고, 이를 본 시민들의 겁먹은 인터뷰를 내보내 전 국민을 공포로 내 몬 사건입니다.

둘째는 사실과 허구를 뒤섞는 방법입니다. 기업총수들이 비리에서 탈출하는 수단으로 애용됩니다. 기업총수가 구속되면 그 기업이 망하는 것처럼 '위기론'을 만들어 적당히 형을 살게 한 후 석방을 하는 것입니다. 기업경영이 흔들리면 국가경제에 타격이 와 국민들의 주머니가 가벼워 진다는 논리는 두려움을 주기에 충분하지요. 논리는 맞지만 주장하는 시나리오대로 될 확률은 극히 낮습니다.

셋째는 통계조작을 통한 여론형성입니다. 이는 '남북한군사력비교'같은 단순비교에서 잘 나타나지요. 단순히 수량으로 비교해 남한의 수적 열세를 강조하고, 북한은 GDP의 30%를, 남한은 GDP의 6%를 군비로 쓴다고 표시합니다. 얼핏 북한이 많이 쓰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총액으로 계산하면 남한이 북한보다 10배 이상 많지요. 남한의 GDP가 북한의 30배 정도 되니까요. 이렇게 여론을 조작해 이익을 챙기는 것입니다.


그 다음은 시선을 다른 데로 돌리려 마술사들이 즐겨 쓰는 '미스디렉션기술'입니다. '행정수도이전사업'으로 야기된 '대통령탄핵사건'이 그것입니다. 탄핵정국에 휩쓸려 야당의 궁색하던 이슈가 모두 덮혀 버렸지요. 물론 야당의 무리수가 정치적 심판을 받아 공포조작 주도자의 실패로 보이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노무현공포'를 만들어 냈으니까요. 그 이후 야당이 재.보선에서 독주할 수 있었던 것은 이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참여정부들어 이러한 '공포효과'는 많지 않았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찬찬히 살펴보면 '공포마케팅효과'를 만들어 낼 이슈가 북핵문제외에는 특별한 것이 없었습니다. 그래선지 야당과 보수언론은 노무현 대통령이 하는 일은 무엇이든 부정적으로 몰아가 종국에는 노무현 대통령이 하는 일은 무엇이든지 안된다는 인식을 확산시켰습니다. '노무현공포'를 만든 것입니다.

우리사회에 '노무현공포'가 만연되어 있다는 것은 아주 중요한 문제입니다. 이것이 여당을 흔들고, 정부정책의 불신으로 이어져 경제주체들의 건전한 소비를 왜곡해 부동산투기로 쏠리거나, 경기회복이 늦어지는 원인을 제공한 것입니다. 국민들이 미래가 불안해 보이니 돈을 쓰지 않거나, 건전한 투자보다는 투기로 간 것입니다. 정치적 반대편에 있는 세력들이 이구동성으로 네거티브 공세를 퍼붓는데, 이를 이길 장사가 없었던 것이지요.

이러한 '공포마케팅'은 주로 지금의 야당과 보수성향을 지닌 메이저 언론이 한편이 되어 잘 만들어 냅니다. 구체적인 근거를 들지 않더라도 그 이력을 보면 부정하지 못합니다. 보수언론의 '세금폭탄'과 야당 대표를 지낸 여성정치인이 즐겨 쓰는 '위기론'이 그 예입니다. '나라지키기, 아이들지키기, 사학법지키기'등, 아마 그 정치인의 논리대로 되었으면 벌써 우리나라는 망했어야 합니다.

이처럼, 우리가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공포의 뉴스들을 꼼꼼히 따져보면, 대부분의 공포는 근거가 빈약하거나 터무니없이 과장된 것이 많습니다. 특히 언론과 정치인이 조장하는 '공포마케팅'은 상당히 위험한 수준입니다. 나라 밖으로는 전 세계를 공포로 몬 '이라크사태'가 단연 압권입니다. 그러나 미국은 이라크와 '9.11테러'가 관련이 있다는 근거를 찾아내지 못했지요. 결국 미국 방산업체와 이를 거든 언론만 떼돈을 번 셈입니다.

이러한 정치인과 언론, 그리고 이를 통해 이익을 얻으려는 세력의 '공포마케팅'은 계속될 것입니다. 그동안의 주된 소재였던 북한을 이용한 이슈가 사라졌기에 다른 방법을 찾겠지요. 요즘 이슈가 되고있는 기자실통폐합으로 '국민의 알권리를 막아 언론이 말살된다'는 주장도 '공포마케팅'의 신종형태가 아닐까 합니다. '공포마케팅'을 이용해 득을 보려는 세력은 항상 새로운 먹잇감을 찾으니까요.

'다 하는데, 당신도 하지않으면 소외되거나 뭔 일이 생긴다'는 두려움을 주는 상업광고가 우리를 늘 불안하게 하는 세상인데, 자신들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정치인과 언론까지 우리를 '공포마케팅'의 함정에 빠뜨리려 하니, 참 불안한 세상입니다. 마술은 속는 재미라도 있지만 그들의 의도된 마술은 속는 우리의 속만 쓰리게 합니다.

(*이 기사는 네티즌, 전문가, 기자가 참여한 <블로그> 기사로 한겨레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한겨레 블로그 내가 만드는 미디어 세상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