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5.29 18:41 수정 : 2007.05.29 18:41

“두 집안이 함께 장학회 운영하자”

"부일장학회가 박정희 정권에 강탈당했다는 사실이 재차 확인됐으니 박근혜 전 대표의 결단만 남았다."

29일 진실ㆍ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가 부일장학회(現 정수장학회) 헌납사건과 관련해 강탈이라고 진실규명 결정을 내리자 장학회 설립자인 고(故) 김지태씨의 차남 영우(65.한생산업 회장)씨는 기쁜 표정을 짓기보다는 앞으로 남은 일을 걱정했다.

김 회장은 "정수장학회를 통째로 찾아오겠다는 생각은 처음부터 없었다. 형제들이 선친의 유지를 받들어 장학사업을 계속하기로 결정한 이상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만 결단을 내린다면 `자명(김지태의 호)ㆍ정수장학회'로 이름을 바꿔 함께 운영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아버지가 설립한 부일장학회와 부산일보, 부산문화방송, 한국문화방송, 부산의 땅 10만평을 모두 빼앗았지만 개인재산으로 착복하지 않고, 장학회를 45년 동안 관리한 점은 높이 평가한다"며 "두 집안이 함께 장학회를 운영하는 것이야 말로 진정한 의미의 화해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자신을 포함한 형제 5남2녀 중 1명이 장학회의 이사장을 맡고, 박 전 대표가 명예 이사장직을 맡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수 차례 박 전 대표측에 전달해왔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국정원 과거사위가 2005년 `부일장학회 헌납사건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지시로 중정의 강압에 의해 이뤄졌다'고 이미 발표했지만 정수장학회측에서는 어떠한 변화도 없었다"라며 "좀 더 적극적인 화해권고가 필요해 진실화해위에 진정을 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진실화해위 전원위원회에는 한나라당이 추천한 위원 3명이 포함돼 있기 때문에 이번 결정의 의미가 더 크게 느껴진다"라며 "그동안 소송을 할 수도 있었지만 법적인 잣대로만 따질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판단해 때를 기다려왔다"고 덧붙였다.

유족들은 빼앗겼던 부산의 토지 10만평 중 아직 국가명의로 남아있는 토지 4만평을 되찾아 절반은 `자명문화재단'을 만드는데 쓰고, 나머지는 가족끼리 나눠갖겠다는 생각을 밝혔다.


이들은 박 전 대표에게 보내는 공개서한에서 ▲무슨 자격으로 정수장학회 이사장을 지냈고 거액의 월급을 받았나 ▲정수장학회와 아무 관계 없다고 주장할 것인가 ▲부친의 잘못을 대신 사과하고 장학회를 돌려줄 생각은 없는가 등을 묻고, 이에 대한 답변이 없으면 법적절차를 밟겠다고 전했다.

김 회장은 "이제 죽어도 아버님 뵐 낯이 있다. 아버지는 수갑을 찬 채 재산포기 각서에 도장을 찍을 수 밖에 없었던 상황을 떠올리며 `세상에 그런 일이 어디있느냐. 내 생전에 못하면 너희가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평생 억울해 하셨다"고 말했다.

그는 "모든 사람이 잘못됐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진실을 밝히는데 거의 반세기가 흘렀다"며 "아무리 세월이 지나고, 아무리 권력이 억눌러도 진실은 밝혀진다는 것을 새삼 느꼈다"고 소감을 나타냈다.

성혜미 기자 noanoa@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