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해양연구원 심해연구사업단 박정기 단장(뒷줄 왼쪽에서 네 번째)과 연구원들이 29일 거제도 장목항에 정박한 온누리호 선상에서 태평양 해상 현장 연구에 필요한 안전교육을 받은 뒤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김정수 기자 jsk21@hani.co.kr
|
태평양 ‘망간 광구’ 탐사 나서는 해양연구원 17명
제12회 ‘바다의 날’을 이틀 앞둔 29일 오후 경남 거제시 장목면 장목항.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앞 부두에 정박한 해양연구선 온누리호 갑판은 응급상황 대처법을 배우는 젊은 사람들의 열기로 달아올랐다. 답답한 방화복과 산소마스크를 쓰고 연신 거친 숨을 몰아쉬는 이들은 해양연구원 심해연구사업단 소속 연구원들이었다. 이들 17명이 이날 연구실을 떠나 온누리호에 오른 것은 올 여름 태평양으로 ‘해저의 검은 노다지’로 불리는 망간덩이(단괴)를 찾아 떠나는 길의 사전 준비과정이다. ‘망간단괴’는 심해저에 지름 3~10㎝ 크기의 덩어리 형태로 널려 있는 광물이다. 망간 말고도 니켈·코발트 등 산업의 기초소재가 되는 금속 성분을 많이 함유해 오래 전부터 선진국 사이에서도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남한 75%크기 7만5000㎢ 배타적 개발권 승인 받아“2010년엔 채굴 나서자” 산소마스크 쓰고 맹훈련 17명의 연구원들은 태평양 깊은 바닷속에서 벌어지는 자원획득 전쟁의 전사들인 셈이다. 해양의 생물·지질·화학·지화학·지리정보 분석 등 다양한 전공 분야와 목표를 향해 흔들리지 않는 팀워크가 이들이 자랑스레 내세우는 무기다. 이 ‘한국 심해연구의 대표 선수’들은 오는 7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다른 협력기관 연구원들과 함께 두 팀으로 나뉘어 온누리호에 오른다. 목적지는 미국 하와이 동남쪽 2천㎞ 태평양 한가운데 있는 클라리온-클리퍼턴 해역. 그곳에서 한 달 가량 뜨거운 햇볕, 거센 파도와 싸우며 각자의 전문지식을 총동원해 망간단괴 개발을 앞당기는 연구에 나선다.
|
태평양 망간단괴 개발 한국 광구 위치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