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6.08 18:56 수정 : 2007.06.08 18:56

부일장학회 고 김지태씨 아들 영우씨

부일장학회 고 김지태씨 아들 영우씨

고 김지태씨의 둘째 아들 영우(65·한생산업 회장·사진)씨의 서울 마포구 사무실 책상 뒤에는 참을 인(忍)자가 쓰여진 액자가 걸려 있다. 김씨는 지난달 29일 진실화해위의 권고가 나온 뒤 정수장학회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에게 “장학회를 함께 운영하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이후 박 전 대표와 정수장학회 쪽이 진실화해위 권고를 비난하고 나서자, 김씨는 8일 “더 이상 참지 않겠다”며 “장학회를 우리가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와 정수장학회 쪽은 사실상 권고를 거부했는데.

=박 전 대표 쪽에서 진실화해위 권고를 정치문제화하는 것이 이해가 안된다. 그 일은 박 전 대표가 잘못한 게 아니라 45년 전 그의 아버지가 한 일이다. 유력한 대선 후보라 흠이 안 되도록 ‘함께 운영하자’고 제안했다. 지난날의 과오를 양쪽 집안의 후손들이 대승적으로 극복하고 장학사업을 이어가자는 선의였는데, 오히려 이를 교묘하게 악용하고 있다.

※정수장학회 쪽에선 ‘부일장학회가 이름뿐인 장학재단이었다’고 주장한다.

=1958년 11월 부일장학회가 만들어지고 62년 5월 강탈될 때까지 부산·경남지역 초·중·고·대학생 1만2364명에게 당시 돈으로 1억7300여만환을 지급했다. 부산일보 안에 장학사업 파트를 따로 두고 신문사 이름을 줄여 부일장학회로 이름을 지었다. 굳이 재단을 설립할 필요가 없었다. 그쪽 주장은 재단 설립을 하지 않은 점을 문제삼는 것인데, 그렇다면 결국 개인 재산을 강제로 빼앗았다는 말이 된다.

※당시 재단이 소유한 부산일보는 부채가 자산의 2배였고, 문화방송·부산문화방송은 자본금이 각각 1천만원과 500만원에 지나지 않아, 결국 ‘부실 재단’이었다는 주장도 나오는데.

=그렇게 부실했다면, 왜 빼앗은 10만여평 알짜 땅을 재단이 가지지 않고 국방부에 무상양도했나? 그 정도로 ‘하찮은’ 문화방송으로부터 매년 20억원, 부산일보로부터 매년 8억원씩 기부금을 받은 이유는 뭔가? 말도 안되는 소리다.

※장학회를 함께 운영하자는 제안은 유효한가?


=전면 철회다. 내가 박 전 대표였다면 공동 운영 제안을 받아들였을 것이다.

※환수되는 재산은 어디에 사용되나?

=부산 땅의 경우 문화재단을 만들어 지역 문화사업에 도움을 줄 생각이다. 정수장학회는 환수 뒤 아버지 호를 따 자명장학회로 이름을 바꿔 운영할 것이다. 현재 장학금을 받는 학생들에게는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하겠다.

글 김남일 기자

사진 장철규 기자 chang21@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