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부산 교통카드 사용 건수 추이
|
“지정된 곳에서만” “수수료 부과” 조건 까다로워
서울에서 지하철을 타고 출퇴근하는 한재관(26·회사원)씨는 최근 교통카드를 신용카드로 바꾼 뒤 교통카드 잔액을 돌려받으려 했다. 하지만 출퇴근 길마다 들르는 지하철역에서는 환불을 해주지 않았다. 이런 불편함에 대한 시민 원성은 높아가고 있지만, 업체 쪽과 관련 공기업은 별다른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서랍속 소액 고스란히 업체 수익으로시민단체 “교통약자 보조등에 사용을” ■ 사기는 쉬워도 환불하기는 어려워=서울 교통카드는 가판대와 편의점, 지하철역 등에서 쉽게 사거나 충전할 수 있다. 반면 고장이 나거나 환불을 원할 때는 사정이 달라진다. 전자화폐를 겸하는 ‘티머니’는 GS25 등 지정된 편의점에, 교통카드 전용인 유패스는 가판대에 가야한다. 편의점이나 가판대 가운데 환불을 해주는 곳은 일부다. 지난 4월부터는 수수료 500원이 부과되고 있으며, 고장난 교통카드는 환불받기까지 10여일을 기다려야 한다. 다른 지역 상황은 더 나쁘다. 광주의 교통카드 판매소는 200여곳이지만 환불이나 교환을 할 수 있는 곳은 동구 금남로에 있는 빛고을카드센터 한곳뿐이다. 대구에서는 대구은행 지점에서만, 부산에서는 부산은행 지점이나 제조·관리회사에서만 가능하다. 광주는 수수료가 없지만, 대구는 환불 때 1만원 이하면 200원, 1만원이 넘으면 1.5%의 수수료를 뗀다. ■ 교통카드 미사용액도 ‘나몰라라’=불편한 환불 탓에 적은 액수가 남은 교통카드는 버려지거나 서랍 속에 처박히기 일쑤다. 이런 미사용액이 쌓여가고 있지만, 교통카드 업체들은 그 규모도 파악하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승객이 충전한 돈은 교통카드 회사의 선수금으로 잡힌다. 부산의 경우 하나로카드에 200억원, 마이비카드에 70억원 가량의 선수금이 쌓였고, 서울의 한국스마트카드는 300억원 정도를 쌓아놓고 있다. 하지만 이 가운데 미사용액의 규모를 아는 회사는 한 곳도 없다. 한국스마트카드 고객서비스기획팀 최광민 과장은 “장기간 안 쓰는 카드의 기록을 뽑아낼 수는 있지만, 누구 돈인지도 모르고 따로 정리할 필요성을 못 느낀다”고 말했다.
■ 서비스 개선 ‘안 하거나 혼선 빚거나’=한국스마트카드는 11일 “서울메트로가 운영중인 지하철 1·2·3·4호선 지하철역에서 다음달 1일부터 환불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반면 서울메트로의 김상진 차장은 “한국스마트카드에서 아직 시스템도 설치하지 않았고 여건상 7월부터 환불한다고 말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다른 지하철 노선을 운영중인 서울도시철도공사와 코레일은 꿈쩍도 않고 있다. 도시철도공사 홍보팀의 김완기 주임은 “현실적으로 인원 문제가 있어 한국스마트카드와 환불 관련 협약을 체결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대중교통 공공성 강화를 위한 연대회의’의 오선근 집행위원장은 “교통카드에 남은 소액 충전금이 교통약자 보조나 편의시설 확보 등 공공적인 목적에 사용될 수 있도록 시민이나 시의회가 나서 적절한 방안을 찾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완, 부산 대구 광주/신동명 구대선 안관옥 기자 wani@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