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6.12 18:45 수정 : 2007.06.13 07:54

서울시설공단은 청계천 복원 618일 동안 경비원 수십명을 세워 일일이 셌다고 밝혔다. 자료사진 (연합뉴스)

진출입 30곳에 경비원 수십명 세워 ‘한명 두명 세명…’

서울시설공단은 11일 청계천 복원 618일 만에 5천만명의 관람객을 맞았다고 발표했다. 공단 쪽은 어떻게 그 많은 수를 셌을까?

2005년 10월1일 복원 뒤 1천만명째 관람객을 맞았던 같은 해 11월27일까지 58일 동안은 경비원 수십명이 천변 진출입로 30곳에서 계수기를 들고 일일이 통행인 수를 셌다는 게 공단 쪽 설명이다.

하지만 그 뒤에는 두 가지 ‘어림짐작’ 방식이 쓰이고 있다. 첫째는 청계천변을 경비하는 10명이 아침 8시~밤 12시 두 시간마다 눈으로 관람객 수를 헤아리는 방법. 청계천 종합상황실은 경비들의 보고를 종합해 하루 관람객 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밤 12시부터 8시간 동안의 관람객 수는 ‘0’명으로 친다. 계산을 할 때는 청계천변으로 내려온 사람뿐만 아니라 청계천 옆 ‘안전도로’를 따라 걷는 사람, 청계광장에 모인 사람, 청계천 다리를 건너다가 난간 쪽을 향한 사람 등도 포함시킨다. 공단 쪽은 “관람객이 청계천을 찾으면 평균 두 시간 가량 머문다고 판단해 두 시간마다 센다”고 설명했다.

둘째 방법은 청계천을 따라 설치된 폐쇄회로 텔레비전 20대와 ‘라이브캠’이라는 원거리 카메라 25대를 이용하는 것. 청계천 종합상황실의 두 직원이 두 시간마다 여기에 비친 관람객 수를 집계한다.

공단의 공식적인 통계는 이 두 방법으로 계산된 수치의 평균치다. 김석종 청계천관리센터장은 “어차피 관람객 수를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에 발표되는 수치는 추정치”라며 “효율적 청계천 관리를 위한 참고자료”라고 말했다.

김기태 기자 kkt@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