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6.14 19:40 수정 : 2007.06.14 19:41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총련본부 건물. 사진 도쿄/AFP 연합

검찰, 인수 계약한 오가타 전 장관집 압수수색
총련 “선거 앞두고 아베 지지율 반전용” 반발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총련) 계열 동포의 거점이자 ‘북한의 대사관’ 구실을 하던 총련본부 건물(사진)이 압류로 사라질 위기에 빠졌다.

조선중앙회관(토지 725평, 지상 10층·지하 2층, 총건평 약 3545평)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건물은 일본 제국주의의 상징인 황궁과 야스쿠니신사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거리에 자리잡고 있다.

총련의 초대 의장인 한덕수씨의 주도로 건립된 이 건물은 1963년 4월15일 도쿄 지요다구 후지미의 현재 터에 5층으로 시작했으나, 1986년 9월25일 지상 10층짜리 초대형 건물로 증축됐다. 총련 소속 상공인과 동포들이 십시일반으로 30~40억엔의 건축비를 모았다.

한 전 의장은 숨지기 전, 황궁 근처에 일본의 어느 건물에 비해 뒤지지 않는 번듯한 회관을 지은 것을 최대의 업적으로 자랑했다고 총련의 한 간부는 회상했다. 총련의 한 관계자도 “조선회관은 재일동포 1세들의 마음과 정열이 깃든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재산”이라고 말했다. 특히 신주쿠에 있던 총련의 옛 본부 건물이 우익테러로 추정되는 방화로 불타, 현재의 장소로 터를 옮긴 것이어서 총련계 동포들의 애정은 더욱 깊다.

도쿄지검 특수부는 14일 도쿄 총련 중앙본부의 인수 계약을 맺은 전 공안조사청 장관(1993~1995년) 오가타 시게타케(73) 하베스트투자고문 대표이사의 도쿄 자택과 사무실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또 오가타 대표와 총련의 대리인인 쓰치야 고켄 전 일본변협회장도 불러 조사했다.

검찰은 인수대금을 지급하기 전에 소유권을 넘긴 것으로 보아, 중앙본부를 지키기 위한 위장매매일 가능성이 있다고 수색이유를 밝혔다. 이에 따라 이번 계약은 백지화될 가능성이 커졌다.

앞서 아베 총리는 13일 밤 “총련은 구성원이 납치를 비롯해 범죄에 가담한 사실이 분명하고, 파괴활동방지법의 조사대상이기도 하다. (오가타 대표가) 지금은 민간인이라고 하지만 과거 처지를 충분히 생각하지 않고 있다”며 강한 불쾌감을 표시했다.

총련 쪽은 아베 총리가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최근 급격하게 떨어진 지지율 반전을 위해 ‘북풍’을 연출하려고 총련을 목조르는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현재 총련은 총련계 16개 신용조합의 부실채권을 인수한 일본 정리회수기구가 제기한 공적자금 628억엔 반환 소송에 묶여 있다. 18일 나오는 1심 판결에서 패소할 가능성이 크다.


이 판결에서 패소하면 건물을 거의 빼앗길 수밖에 없는 총련 쪽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세보다 싼 가격에 토지·건물을 팔려 했다. 하지만 납치 문제로 악화한 대북 여론을 타고 총련을 압박하고 있는 일본 정부의 개입으로 이마저도 불가능한 상황이 현실화하고 있는 것이다.

도쿄/김도형 특파원 aip209@hani.co.kr

사진 도쿄/AFP 연합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