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부터 핵심 관계자 본격 소환
보복폭행 사건 수사의 늑장ㆍ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일선 경찰서나 관련자 압수수색, 통화내역 조회, 일선 수사진 조사 등 `터파기 공사'를 마치고 14~15일 잇따라 장희곤 전 남대문경찰서장을 소환조사하는 등 경찰 전ㆍ현직 수뇌부를 향해 수사의 방향을 점차 정조준하고 있다.
검찰은 장 전 서장이 수사의뢰됐지만 일단 피의자나 피내사자가 아닌 `참고인' 자격으로 불러 조사했다고 밝혀 아직 기초공사가 끝나지 않았음을 강조했다.
그러나 장 전 서장과 강대원 전 남대문서 수사과장 등에 이어 김학배 전 서울경찰청 수사부장, 홍영기 전 서울경찰청장, 한화 고문인 최기문 전 경찰청장 등의 줄소환이 예고돼 있고 이택순 경찰청장 등 핵심인사들의 통화내역 조사도 진행 중이어서 이번 주부터 수사가 본궤도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기초조사 1막' = 검찰은 지난달 28일 서범정 형사8부장을 주임검사로 특수부, 마약조직범죄수사부, 형사부 검사들을 차출해 특별수사팀을 꾸린 뒤 20여일간 구체적인 `팩트'를 모으는데 주력해왔다.
전례 없이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대와 남대문서 등 일선 경찰서에 대해 전격 압수수색을 실시하고 최기문ㆍ유시왕 한화 고문, 홍영기 전 서울경찰청장, 강대원 전 남대문서 수사과장 등 외압이나 늑장수사 의심을 받고 있는 관련자들의 거처도 수색해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또 법원 제동으로 제한적으로나마 핵심 관계자들의 통화 내역을 확보했고, 이택순 청장이 한화 관계자들과 골프를 쳤다는 의혹이 제기된 골프장 3곳에서도 예약자 리스트나 CCTV 등을 가져와 분석해왔다.
이밖에 총경급 이하로 강 전 과장과 남대문서 및 태평로지구대 등의 일선 수사진이나 김모 한화리조트 고문 등 한화 관계자들까지 불러 상부에 대한 수사 보고 및 첩보 누락, 피해자 조사 지연, 조폭과의 접촉 등에 대한 조사는 물론 `부적절한 외압ㆍ개입' 등이 없었는지에 대해서도 조사를 벌여왔다.
◇`몸통수사 2막' = 검찰이 장 전 서장을 14~15일 잇따라 불러 조사한 것은 보복폭행 수사의 늑장ㆍ외압 의혹을 밝히는 `몸통'으로 진입하는 서곡으로 읽혀진다.
물론 검찰 관계자는 "장 전 서장이 경찰로부터 수사의뢰되긴 했지만 일단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으며 몇차례 추가 조사가 불가피하다"고 말해 `기초공사'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강조했다. 그렇지만 장 전 서장이 경찰간 `핑퐁 게임'으로 광역수사대와 남대문서를 오가다 언론 보도로 본격화된 수사를 총지휘한 인물인데다 그의 소환이 수사에 직접 참여했던 일선 경찰에 대한 조사가 일단락된 점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검찰이 이 사건 핵심에 다가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최 고문과 장 전 서장이 여러차례 문자 메시지 등 전화 통화를 했다는 의혹이 정치권 등에 의해 제기된 상황이어서 경찰청이 지목한 그의 `지휘 소홀'이 최 고문이나 이 청장 등 경찰 전ㆍ현직 수뇌부와 무관치 않을 것이라는 점도 세간이 주목하고 있는 의혹의 큰 줄기이다. 따라서 장 전 서장 조사가 수사지휘 선상에 있던 간부들에게 사건과 관련해 문의하는 등 `부적절한 처신'을 한 의혹이 있는 최 고문이나 이 청장 등을 에둘러 겨냥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설득력을 갖는 부분. 검찰은 장 전 서장에 이어 이번 주부터 김학배 부장과 홍영기 서울경찰청장 등 사건 수사 수뇌부를 불러 규정을 어기고 남대문서로 사건 첩보를 넘기는 과정에서 최 고문 등으로부터 외압ㆍ청탁 등을 받았는지 여부를 조사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앞으로 검찰 수사의 초점은 범죄 장소가 3개 경찰서 관할에 걸쳐 있고 대기업 총수가 다수의 폭력배를 동원해 납치, 감금, 폭행을 벌인 사건을 첩보를 입수한 광역수사대에서 처리하는 것이 운영규칙상 맞는데도 이를 어긴 것이 `보이지 않는 손' 때문이 아니냐는 쪽에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수사진 소환조사와 통화내역 분석 등을 통해 사실 관계에 대한 진위 파악이 끝나면 마지막으로 최기문 고문과 이 청장에 대한 소환조사 여부를 검토할 것으로 전망된다. 강의영 기자 keykey@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