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6.20 18:22 수정 : 2007.06.20 18:22

보복폭행 외압 의혹 핵심 `정조준'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보복폭행 사건 수사 무마 등을 위한 한화 측의 대(對) 경찰 로비 창구로 의심받고 있는 최기문 전 경찰청장이 검찰에 전격 소환됐다.

보복폭력 사건 수사를 둘러싼 외압ㆍ늑장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주임검사 서범정 형사8부장)은 20일 오후 2시께 경찰청장 출신인 한화건설 최기문(55) 고문을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검찰은 경찰청의 감찰 결과 고교 후배인 장희곤 전 남대문서장을 비롯해 경찰 고위 간부 여러 명에게 청탁성 전화를 건 것으로 밝혀진 최 고문을 상대로 경찰 관계자들과 무슨 목적으로 어떤 대화를 나눴는지, 사건 무마용으로 금품을 건넨 적은 없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캐물었다.

전날 김학배 전 서울경찰청 수사부장을 불렀던 검찰은 `보복폭행' 장소가 3개 경찰서 관할에 걸쳐 있고 대기업 총수가 관련돼 광역수사대에서 사건을 맡는 것이 맞는데도 김 부장이 이를 무시하고 사건을 남대문경찰서로 이첩토록 지시한 것이 최 고문을 비롯한 한화 측의 로비 효과일 수도 있다고 보고 이 부분을 중점 수사해왔다.

하지만 전직 경찰 총수가 단순히 인맥을 동원해 `사건을 잘 봐달라'는 수준의 전화를 한 것으로는 형사처벌 대상이 되기 어려워 검찰은 단순히 청탁 전화를 한 것 외에 금품 로비를 한 정황을 찾는 데 수사력을 기울이고 있다.

검찰은 최 고문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한 뒤 최 고문과 통화했던 홍영기 전 서울경찰청장, 그리고 고교 동창인 한화증권 유시왕 고문과 `부적절한 접촉'을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이택순 경찰청장 등에 대한 소환 여부도 신중히 검토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19일에는 김 전 수사부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대기업 간부가 연루되거나 여러 경찰서에 겹쳐져 있는 사건은 광역수사대가 맡아야 한다는 내부 규정을 어기고 남대문서로 사건 첩보를 넘기는 과정에서 최 고문의 청탁이나 경찰 최고 수뇌부의 압력을 받은 사실이 있는지를 조사했다.

한편 검찰은 20일 폭행 현장에 동원됐다 사건 직후 캐나다로 도피한 맘보파 두목 오모씨로부터 경찰의 수사를 무마해달라는 청탁을 받고 돈을 받은 혐의(변호사법 위반)로 C산업개발 대표 홍모(54)씨에 대해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검찰에 따르면 폭력조직 명동파 두목으로, 사건 발생 뒤 강대원 남대문경찰서 전 수사과장과 오씨가 모 일식집에서 만나는 자리에 함께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홍씨는 오씨로부터 4월 초ㆍ중순 2차례에 걸쳐 남대문 경찰서 관계자를 통해 수사를 무마해달라는 부탁과 함께 1천500만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홍씨가 받은 돈을 실제 경찰에 전달했는지 등을 계속 수사 중이다.

강의영 차대운 기자 keykey@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