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7.02 13:24 수정 : 2007.07.02 13:24

한중연 황문환 교수 반년간지 '장서각'에 논문 발표

'자내 나에게 둘이 머리 세도록 살다가 함께 죽자 하시더니 어찌하여 나를 두고 자내 먼저 가시는고…'

이응태묘(1586년)에서 나온 언간(순한글 편지)의 첫 부분이다. 먼저 간 아내를 그리는 남편의 애절한 마음이 담긴 편지인 듯하지만 사실은 아내가 남편에게 쓴 편지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황문원 교수는 한중연이 발간하는 반년간 학술지 '장서각' 최근호에 실은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부부간 호칭과 화계(話階)'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조선시대 부부간 대화의 유형을 고찰했다.

황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16세기 후반까지 남편이 아내를 부를 때는 물론 아내가 남편을 부를 때도 '자내(자네)'라는 호칭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내가 남편을 부를 때의 종결형 역시 '하소'체가 사용됐다. 남편이 아내에게 말할 때 '자내-하소체 종결형'의 말투를 사용한 것과 동일하다.

황 교수는 "아내가 남편에게 남긴 편지는 이응태묘출토언간이 유일해 쉽게 단정할 수는 없다"면서도 "적어도 16세기에는 부부간 대등한 호칭과 화계가 사용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18-19세기에도 남편과 아내는 '게셔'라는 동일한 호칭을 사용했다. 밀양박씨(1700-1737)는 편지에서 남편을 '게셔'라고 불렀다. 18-19세기 남편이 아내에게 쓴 편지에 등장하는 '게셔'와 동일한 호칭이다.

그러나 종결형에서는 남편과 아내의 차등관계가 드러난다. 이 시기 남편이 아내에게 말할 때는 '하압소체'를 주로 사용한 반면 아내가 남편에게 말할 때는 '하압체'가 사용됐다.

19세기 언간에서는 '마누라'와 '나으리'라는 호칭이 발견됐다. 흥선대원군은 언간에서 부인을 '마누라계셔은(마누라께서는)'으로 표기했다.

황 교수는 "존칭의 주격조사 '계셔'와 결합한 것으로 보아 존칭의 호칭으로 쓰인 것이 분명하며 '중년이 넘은 아내를 허물없이 이르는 말'인 현대국어의 마누라와는 경어적 가치가 다르다"고 단정했다.

19세기까지 마누라는 아내의 극존칭으로 사용된 셈이다.

고종31년(1894) 오정선의 아내가 남편에게 보낸 언간에서는 '나으리'라는 표현이 관찰된다. 본래 아랫사람이 당하관을 부르던 말인 나으리는 이 시기에 와서 벼슬하는 남편을 호칭하는 데까지 쓰인 것으로 해석된다.

황 교수는 "아내가 남편에게 쓴 편지 자체가 워낙 드물어 몇몇 사례만으로 조선시대 부부간 호칭을 확정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며 "반드시 추가 연구가 필요한 분야"라고 덧붙였다.

김승욱 기자 kind3@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