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7.04 19:02 수정 : 2007.07.04 21:18

대학이 담배회사의 돈으로 흡연 관련 연구를 하는 것을 두고 각국에서 여러 차례 연구윤리 논란이 벌어진 바 있다. 담배회사 자금으로 진행된 연구들이 흡연의 폐해를 축소하는 연구결과를 내놓는 등 자금 을 지원한 회사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의혹을 사왔기 때문이다.

독일의 시사주간지 <슈피겔>은 2005년 6월 독일 대학의 보건의학계 권위자들이 독일담배제조업자협회로부터 수백만 마르크를 지원받아 1980년대와 1990년대 초 담배의 유해성을 평가절하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폭로했다. 미국담배통제연구센터 스탠튼 글랜츠 센터장은 2005년 3월 필립모리스로부터 연구비를 받아 학술지에 발표된 한 논문의 연구과정에 필립모리스가 직접 개입해 결과를 유리하게 왜곡했다고 주장해 파장을 불렀다. 논란이 된 논문은 간접흡연이 유아 돌연사에 끼치는 위험성을 과소평가하고 근거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논란을 거쳐 현재 미국 하버드, 존스홉킨스, 컬럼비아, 캘리포니아주립대 10곳 등 주요대학들은 담배회사가 지원하는 연구비를 받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주립대 교수대표회의는 지난해 10월 “담배회사의 연구비는 학문의 자유를 억압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담배회사의 연구비 수령을 금지하기로 결의했다.

2001년 스위스 제네바대학도 비슷한 결정을 내렸다. 이 대학의 교수가 필립모리스 자금지원을 받은 연구에서 간접흡연의 피해를 조작했다는 논란이 제기되자, 담배회사의 학술연구지원금을 받지 않기로 했다. 한국은 2005년 5월 세계보건기구의 담배규제기초협약을 비준하고 5년 안에 담배의 광고·판촉·후원을 완전 금지하기로 했다. 박주희 기자 hop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