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7.12 11:31 수정 : 2007.07.12 11:31

신공덕동사무소 이명박쪽 초본유출 진상 파악

이명박 한나라당 대선경선후보 관련 고소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최재경 부장검사)는 12일 이 후보의 처남 김재정씨의 부동산 매입 자금 출처에 대한 수사에 본격 착수했다.

검찰은 또 서울 신공덕동사무소에서 이 후보 가족의 주민등록초본이 유출돼 김혁규 의원측에 건너갔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진상파악에 들어갔다.

김홍일 서울중앙지검 3차장검사는 이날 브리핑에서 "(부동산 거래 후) 시간이 상당히 흘러 자금추적이 어렵다. 자금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외부 전문가와 함께 연구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는 검찰 수사가 공공기관의 이후보측 개인정보 조회 등 `자료 유출'의혹 뿐만 아니라 이 후보측의 부동산 차명 보유설을 비롯한 의혹의 본체를 들여다보는 단계로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김 차장검사는 "그간 고소인인 김재정씨가 출석하지 않아 부동산 차명소유 의혹 수사에 진척이 없었지만, 고소인 조사를 하지 않고도 (차명보유 의혹을) 확인할 수 있는 참고인들을 계속 조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씨는 13일 고소인 자격으로 출석해 조사를 받을 예정이다.

검찰은 또 신공덕동사무소에서 이후보측의 주민등록초본을 발급받은 신용정보업체 이모씨와 이 회사에 초본 발급을 의뢰한 법무사 사무실 직원 등을 조만간 소환해 경위를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은 아울러 행정자치부 등 4개 기관으로부터 이 후보와 친인척의 부동산 관련 자료와 전과 기록 등의 접속기록 일체를 넘겨받아 누가 업무 이외의 목적으로 이 후보측 개인 정보를 검색했는지 분석 중이다.

이밖에 검찰은 ㈜다스의 자회사 홍은프레닝이 천호동 부지를 매입한 뒤 인근 지역이 뉴타운으로 결정되고, 주상복합건물 시행사로 선정된 의혹과 관련해 당시 뉴타운 선정에 관여한 서울시공무원 등에 대한 소환 절차에 들어갔다.

김 차장검사는 "홍은프레닝 천호동 주상복합건물 개발 사업과 관련해 어떤 특혜가 있었는지, 이익은 어느 정도나 되는지, 자동차 부품업체이던 ㈜다스가 왜 부동산 개발시행사업에 뛰어 들었는지 등을 조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검찰은 김재정씨측이 전날 기자회견에서 "포스코에 판 도곡동 부지와 관련한 의혹은 1999년 대검중수부 수사를 통해 무혐의로 결론났다"고 주장한 데 대해 당시 수사가 어떻게 진행됐고 어떤 식으로 마무리됐는지 확인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검찰은 아울러 김혁규 의원이 이 후보와 박형준 의원에 대해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한 사건을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에 배당했다. 또 시민단체 사이버국민연대가 박근혜 후보를 업무상 횡령 등 혐의로 고발한 사건과 관련해 시민단체쪽 김모씨를 불러 고발인 조사를 벌일 방침이다.

조성현 기자 eyebrow76@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