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7.20 19:30 수정 : 2007.07.21 00:09

합동 대책회의 소집…“한국인 비자발급 중단” 요청

아프가니스탄에서 한국인 21명이 납치된 사실이 밝혀진 20일, 정부는 충격과 당혹 속에서 안전 및 구출 대책 마련에 부산했다.

특히 이날 밤 외신을 통해 ‘아프간 주둔 한국군의 철수가 없으면 피랍자를 살해할 것’이라는 무장단체의 요구가 전해지자, 충격을 감추지 못한 채 진위 파악에 나섰다. 정부 당국자는 “동의·다산부대 철군 요구에 대해선 일단 사실 여부 확인에 들어갔으며, 그에 기반해 정부 대응을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주무 부처인 외교통상부는 이날 오전 10시께 한국인 피랍 첩보를 입수한 뒤 재외동포영사국을 중심으로 긴급대책회의를 열었다. 또 현지 공관과 샘물교회 등을 통해 사실 확인 작업에 나섰다. 아울러 김호영 2차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대책본부를 설치했다.

오후 들어 피랍 사실을 뒷받침하는 여러 정황이 드러나면서 정부의 움직임도 한층 긴박해졌다. 4시께는 청와대 주최로 외교부와 국가정보원 등이 참여하는 관계부처 테러대책회의가 열렸다. 또 오후 5시30분께 송민순 장관 주재로 정부합동 대책회의가 소집됐다.

정부는 두 가지 경로로 긴급 조처에 나섰다. 먼저 현지 대책이다. 우선 주아프간 대사관에 현장대책본부를 설치했다. 또 샘물교회 등을 통해 피랍 한국인 일부가 로밍해 간 휴대전화기를 지니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이를 통한 위치파악 시도에 나섰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른 시간 안에 현지로 대사급을 단장으로 하는 신속대응팀을 파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추가 납치를 막기 위해 아프간 현지에 머물고 있는 동포들의 철수 권유에 나섰다. 외교부 당국자는 “단기 여행객 중심으로 조속한 귀국을 권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프간에는 현재 동의·다산 부대(211명)를 제외한 일반 교민 38명과 한국국제협력단(KOICA) 관계자 7명, 10개 비정부기구(NGO) 관계자 86명, 여행객 100명 등 200여명이 머물고 있다.

이와 함께 외교부는 외교경로를 통한 사실 확인과 대책 마련에 나섰다. 송민순 외교부 장관은 이날 밤 랑긴 다드파르 스판타 아프간 외무장관에게 전화로 협조를 요청했다. 스판타 장관은 “특별대책반을 구성해 여러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정부 고위당국자가 전했다.

외교부는 주한 아프간 대사관에 당분간 모든 한국인에 대한 비자 발급을 중단해 줄 것도 요청했다. 이에 대해 아마드 자위드 아자드조이 대사대리는 한국 요청대로 조처하겠다고 답했다. 이 밖에도 외교부는 미국과 정보 공조에 들어가는 동시에, 아프간에 국제지원군을 파병하고 있는 영국, 프랑스 등 10개 나라 정부에도 협조를 요청했다. 아프간 현지에 파견돼 있는 동의·다산부대를 통해 현지 동맹국 부대에도 사실 확인을 위한 정보 협조를 요청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