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7.20 20:04 수정 : 2007.07.20 21:55

오영교 동국대 총장(맨 오른쪽)이 20일 오후 서울 중구 동국대 본관에서 신정아(35·여)씨의 학력 위조 사건과 관련해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진상규명위 “행정상 중대과실…외압·비리 없었다”
임용 당시 이사진 등 핵심인사 제대로 조사안해

신정아(35·여)씨의 학력 위조 사건을 자체 조사해온 동국대 진상규명위원회(위원장 한진수 부총장)는 20일 기자회견을 열어 “2005년 신씨를 특별채용할 때 외압이나 비리는 없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진상규명위의 조사 과정이 부실한 것으로 드러나, ‘제 식구 감싸기’식 발표가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신씨 개인 비리?=진상규명위는 이날 “신씨를 파면하고 검찰에 고소·고발하기로 했다”며 “신씨 임용 당시 검증 부실 등에 연루된 관련자들을 모두 문책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진상규명위는 “홍 전 총장의 지나치게 의욕적인 업무 추진 방식이 이런 결과를 초래했다고 판단된다”며 “신씨의 학력 관련 서류를 접수·확인하는 과정에서 학·석·박사 성적증명서가 누락되는 등 행정상의 중대한 과실이 있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진상규명위는 또 “지난 16일 신씨가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미국 예일대 박사 과정 입학허가서와 도서관 열람자료 사본 등이 들어 있는 우편물을 보내왔다”며 “예일대 쪽으로부터 그 입학허가서는 1년짜리 과정으로, 정식 박사 과정 입학허가서가 아니라는 답변을 들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진수 위원장은 “(신씨를 2005년 특별채용한) 홍기삼 전 총장은 ‘340명의 교원을 채용했는데 단 한 건도 외압이나 청탁이 없었다’고 진술했다”며 이번 사건을 신씨 개인의 잘못으로 결론 내렸다. 홍 전 총장 자신도 이날 ‘동국 가족에게 드리는 글’을 내어 “은밀하고 부도덕한 거래가 개입된 채용 비리가 결코 아니며, 우리 대학과 본인은 이 사건의 최대 피해자”라고 주장했다.

부실 조사 논란=진상규명위는 신씨 채용 당시의 이사진 가운데 홍 전 총장과 임용택(법명 영배) 현 이사장은 조사했지만, 김창석(법명 현해) 당시 이사장 등 나머지 9명의 이사는 조사하지 않았다. 신씨 임용을 최종 결정한 ‘몸통’을 확인하지 않은 것이다.

또 진상규명위는 이날 임 이사장이 신씨 임용 당시 상임이사직에 사표를 낸 상태였다고 밝혔지만, 사실은 이사로서 의결권을 행사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의혹을 더욱 키우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위원장은 “보통 임용 과정에서 총장이 최종 면접을 한 뒤 이사회에 교원 임명을 요청할 경우 대부분 받아들여 주는 게 관례여서 이사회를 조사할 필요를 느끼지 않았다”면서도 “(교수들로 이뤄진) 진상규명위라는 걸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오영교 총장은 “진상규명위에 전권을 주고 뒷받침했다”고 말했지만, 진상규명위 스스로 부실한 검증이 이뤄진 사실을 내비친 셈이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