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7.30 20:01 수정 : 2007.07.30 23:54

외국여행 위험지역 4단계 등급 경보

외교부는 허술한 홍보
여행자는 멋대로 해석

‘여행제한’ 레바논 올 371명
현지대사관 홈페이지 ‘불통’
여행사 안전설명회 외면 일쑤

“파키스탄에서 아프가니스탄으로 넘어가는 배낭여행족들을 많이 봤어요. 현지에서 위험하다고 하는데도 많이 넘어갔습니다.”

네팔, 라오스 등을 걸어서 여행한 김남희(36·여)씨는 오지에서 한국 여행자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국경을 넘나드는 것을 많이 목격했다고 한다. 그는 “한국 여행객들은 주로 현지를 다녀온 사람들의 인터넷 카페나 블로그 등을 통해 정보를 얻기 때문에 시시때때로 변하는 현지 사정에 어두운 편”이라고 말했다. 많은 여행객들이 체계적인 정보와 안전교육 없이 위험 지역으로 떠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4월에는 20대 배낭여행객이 터키에서 실종된 지 한달 만에 숨진 채 발견되기도 했다.

■ 부실한 정보=외교통상부는 해외안전여행사이트(0404.go.kr)를 통해 세계 각국의 상황을 전하고 있지만, 한 달 이용자는 5만여명에 그친다. 한 달에 100만명 가량이 국외도 떠나는 데 견주면 초라한 실적이다.

이 사이트는 130여 공관을 통해 모은 정보를 바탕으로 △여행 유의 △여행 자제 △여행 제한 △여행 금지 등 4단계로 경보를 내고 있지만, 여행객들의 신뢰를 얻지는 못하고 있다. 터키는 여행 필요성을 신중히 검토할 것을 권하는 여행 자제국이지만 지난해 8천여명이 방문했다. 또 되도록 여행을 삼갈 것을 권하는 여행 제한국인 레바논에도 올해 상반기에만 371명이 방문했다.

정보도 부실하다. 여행 도중 소매치기, 날치기, 강도, 사기 등을 당했을 때 현지 경찰에 신고하라고 안내하면서도, 국가별 안전수칙에는 현지 경찰 연락처를 알려주는 경우가 드물다. 여행 자제국에 속하는 러시아의 한국대사관 등 현지 관계기관 홈페이지가 열리지 않는 경우도 있다.

선교기구와 정부의 위험도 평가가 엇갈리기도 한다. 한국선교연구원이 추천 국가로 평가한 네팔과 파푸아뉴기니, 도미니카 공화국 등을 정부는 여행 자제국이나 여행 유의국으로 지정했다. 한국선교연구원은 아프가니스탄을 선교여행 보통 국가로 알렸다가 이번 피랍사건 뒤 강력반대 국가로 등급을 낮췄다.


주요 여행 경보국 방문자수 추이

■ 부족한 안전교육=티베트, 몽골 등 오지로 떠나는 배낭여행객에겐 충실한 현지 정보와 안전교육이 필요하지만, 여행사에서 마련하는 설명회에 참여하는 이가 드물다. 하나투어 홍보팀 정기윤 대리는 “배낭여행의 경우 출발 전에 교육을 하지만, 참여가 부족해 전화로 설명하고 자료를 나눠주는 정도”라고 말했다. 지난해 중국 신장웨이우얼 자치구에 배낭여행을 다녀온 최혁수(27)씨는 “다녀온 뒤 위구르족의 독립 움직임과 관련해 테러 위험이 있었다는 것을 알고 가슴을 쓸어 내렸다”며 “이번 피랍사건을 계기로 새삼 안전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고 말했다.

세계 각지로 주재원들을 파견하는 대기업에서조차 체계적인 안전교육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름을 밝히지 말아 달라는 엘지상사 관계자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 출장을 자제한다거나 주의사항을 공지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삼성물산도 주재원을 파견할 때 교육을 하고 출장 매뉴얼까지 있지만, 안전에 관한 매뉴얼은 따로 없는 형편이다.

오지여행가 이지선(54)씨는 “개인이 우선적으로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면서도 “여행객들이 정부의 정보보다 국외여행 전문사이트를 참고하는 실정인 만큼 정부가 더 충실하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여행사도 안전교육과 정보 제공 수준을 높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정훈 이정애 기자 ljh9242@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