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7.31 16:12 수정 : 2007.07.31 16:12

"외부유출 대운하 보고서 일반적 연구보고서 아니다"

국가정보원이 한나라당 이명박(李明博) 전 서울시장 친.인척의 부동산 자료를 열람한 데 이어 이 전 시장 개인의 전과기록도 조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택순 경찰청장은 31일 한나라당 공작정치분쇄범국민투쟁위(위원장 안상수) 소속 의원 6명의 항의방문을 받은 자리에서 국정원의 이 전 시장 전과기록 조회 사실을 공식 확인해 줬다고 심재철 의원이 전했다.

심 의원 브리핑에 따르면 이 청장은 "전과조회는 경찰청과 다른 14개 기관에서 하고 있으며, 접속 내용 일체는 현재 검찰에서 조사 중"이라면서 "국정원에서도 이 전 시장의 전과기록을 몇 건 조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청장은 `국정원의 전과기록 조회가 목적외 조회 아니냐'는 추궁과 관련,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은 채 "목적외 사용에 대해서는 기관장이 조치하도록 돼 있다. 그러지 않도록 기관장과 협의하겠다"고만 답변했다.

그는 전과기록 조회가 전체적으로 10여 건에 달한다는 의원들의 지적에 대해 "총 몇 건인지는 말 할 수 없다"면서 "경찰 내부에서도 몇 건 접속한 적은 있으나 `목적외 조회'는 없었다. 경찰 조회는 정상적인 것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개인정보) 조회 단말기가 445대에 달해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에 대해 "완벽하게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경찰 내부에서는 그런 걱정은 거의 불식됐다. 타 부처와는 협의하겠다"고 밝혔고, 다른 대선주자들에 대한 경찰의 전과기록 조회 여부에 대해서도 "했었다"고 확인했다.

이 청장은 이와 함께 경부운하 정부 재검토 보고서 유출사건에 관한 경찰의 축소수사 의혹 제기와 관련, "수사를 의뢰한 곳이 과천 소재 건설교통부이기 때문에 경기지방경찰청에 맡긴 것이다. 당초 건교부에서 37쪽짜리 보고서 유출에 관해서만 수사의뢰를 했기 때문에 보고서 변조부분에 대해서는 수사를 하지 않았다"며 축소수사 의혹을 일축했다.

그는 "보고서 유출 배후에 대해서는 나온 것이 없다"고 단언했고, 보고서의 대통령 사전 보고 여부에 대해선 "그 부분은 수사하지 않았다. 유출과정에만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외부에 유출된 보고서의 성격에 대해서는 "일반 연구보고서 형태는 아니다"고 평가했다.


이에 박계동 심재철 이계경 의원 등은 "정치보고서가 명백한데도 보고서 유출 및 변조 목적과 경위 배후 등을 명확히 규명하지 않은 것은 무책임한 것이자 명백한 부실수사"라며 철저한 배후규명을 거듭 촉구했다.

이 청장은 이에 대해 "관련자들에 대한 보강수사를 계속 진행하고 있다"면서도 "보고서 작성권한이 있는 기관인 건교부가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정상적으로 작성한 만큼 (작성경위를) 세세하게 파헤칠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말해 배후세력에 대한 수사를 확대하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안상수 위원장은 항의방문을 마치면서 "한반도 대운하 보고서 변조의혹과 배후세력 등에 대한 수사를 포기하는 것은 전형적인 꼬리자르기 수사다. 이제 수사가 검찰로 넘어간 만큼 이 부분에 대해서는 검찰에 엄정한 수사를 촉구하겠다"고 밝혔다.

심인성 김병조 기자 sims@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