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씨 성균관대 박사논문 심사 공정성 논란도 확산
단국대는 9일 인사위원회를 열고 학력위조 의혹이 불거진 김옥랑(62.여) 동숭아트센터 대표의 사직서를 받아들이지 않고 징계 절차를 밟기로 결정했다. 신현기 교무처장은 "이미 (학력위조)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해 징계를 해야지 사직 처리를 할 수는 없다고 의견이 모아졌다. 다음 인사위원회부터는 징계 절차를 위한 위원회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김씨는 지난달 건강 문제 등 일신상의 이유로 사직서를 제출했으나 최근 학력 위조 의혹이 불거지면서 사직서 수리를 거부당하게 됐다. 단국대는 조만간 김씨에게 출석을 통보하고 2차 인사위를 열어 사실 관계를 확인하는 등 징계 논의를 벌인다. 이어 법인 징계위원회가 인사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징계 수위를 결정한다. 그러나 김씨가 현재 외부와의 연락을 끊고 있어 인사위 출석 여부는 아직 불투명한 상태다.만약 소환 통보를 2차례 거절하면 본인 소명 없이도 징계가 내려질 수 있다. 단국대는 김씨에게 석박사 학위를 수여한 성균관대가 학위를 취소할 경우 이를 근거로 징계 수위를 결정할 방침이지만, 성균관대 자체 조사가 늦어질 경우에는 김씨의 학부 졸업학교인 퍼시픽웨스턴(Pacific Western)대가 미인가 학교라는 사실만 확인해 곧바로 징계에 들어갈 계획이다. 대학 관계자는 "법인 징계위원회에서 최종 결정이 내려지겠지만 100% 파면될 사안이다. 재론의 여지가 없을 것으로 본다"라며 징계 절차가 조기에 마무리될 것임을 시사했다. 또한 학부 학력위조 의혹과 함께 김씨의 박사학위 논문 `문화공간으로서 동숭아트센터의 역할과 의미에 관한 연구' 역시 심사 과정의 공정성과 관련, 논란이 일고 있다. 이 대학의 정진수 예술학부 교수는 이날 "김씨가 쓴 박사 논문의 예비심사에 심사위원으로 참여했지만 논문의 주제가 석사학위 논문과 비슷한 점을 지적했다가 본 심사에서 제외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논문의 질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해 다른 심사위원에게 지적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학생이 지도교수와 함께 논문의 심사위원을 자신에게 우호적으로 선택하는 관례가 문제"라고 강조했다. 김씨의 박사학위 논문은 특히 그가 이사장으로 있는 옥랑문화재단에 장기간 이사로 재직한 바 있는 성균관대 이모 명예교수가 심사위원장으로 참여한 사실이 드러나 평가가 공정하게 진행되지 못했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이에 대해 성균관대 정진욱 대학원장은 "학교 입장에서 논문의 심사과정은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중간에 심사위원이 바뀌었다든가 특수 관계의 교수가 위원장으로 참여했다는 것에 절차상의 문제는 없다. 논문의 질에도 문제삼을 게 없다"라고 말했다. 정 원장은 "입학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는지에 대해 사실 확인 중이다. 만약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석사와 박사 학위 논문 수여를 취소할 계획이다"라며 김씨가 가짜 학사학위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는지 여부를 조사 중이라고 전했다. 김병규 강건택 기자 bkkim@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