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01.14 18:31
수정 : 2005.01.14 18:31
|
14일 오전 서울 동작구 상도5동 산동네에서 자원봉사자들이 관내 종교단체, 병·의원과 금융기관 등의 후원을 받은 연탄을 한 저소득층 집에 나눠주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
‘부실 도시락’ 파문이 확산되는 가운데 보건복지부가 파문이 인 시점 사흘 전에 서귀포시를 방문해 결식아동 급식과 관련해 서귀포시를 모범 사례로 평가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현애자 민주노동당 의원은 14일 서귀포시 결식 어린이·청소년들에 대한 도시락 배달 등을 조사한 뒤 제주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부실 도시락이 배달되던 사실이 알려지기 사흘 전인 지난 5일 보건복지부 아동정책과 김아무개 사무관이 결식아동 지원사업 점검차 서귀포시를 방문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현 의원은 “김 사무관이 점검을 끝내고 복지부로 돌아간 뒤 지난 7일 시 담당 계장에게 전화를 걸어와 ‘시가 추진하는 도시락 배달사업을 모범 사례로 삼겠다’고 말했다”며 “도시락을 매일 방문해 전달하는 체제를 높이 평가하고 당시 결식 학생들에게 지원되는 도시락을 직접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김 사무관은 이날 경위서를 통해 “단체급식소를 이용해 급식을 제공하는 방법이 복지부 권장사항이어서 사회복지관 등을 통해 아이들에게 따뜻한 밥을 먹이는 방법을 실시하라고 요구했다”며 “도시락을 배달하는 방법이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었던 방법이어서 이에 대한 자료를 요청한 적이 있다”고 해명했다. 그는 “현장점검 때 시 직원들이 서귀포시 사례를 수범사례로 해 줄 것과 사후 표창을 요구했으나 이에 대해 답변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복지부 쪽도 “11일 시달한 ‘전국 시도 점검 결과’ 공문에서 제주도에 대해 도시락 배달에 편중되어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고 밝혔다. 제주/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