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아차 정·관계에도 추천권 줘”
기아차가 수년 전부터 정치·행정·노동·경찰·소방 등 각계 유력 인사들에게 채용 추천권을 할당했다는 정황과 진술이 잇따라 나와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기아차 노조 관계자는 24일 “추천자를 쓰도록 한 입사지원서 양식을 2002년부터 고쳤지만 이후에도 추천자가 개인적으로 인사 담당자에게 전화를 하면 회사 쪽이 알아서 채용해왔다”며 “청탁자에는 노조 간부와 회사 임원뿐 아니라 외부 정·관계 인사도 광범하게 들어 있다”고 말했다. 사쪽, 부적격자 575→475명 ‘외부몫’뺀듯
소방·경찰·노동관청등에 업무협조 성격
“회사쪽 임직원에 40%할당”말도 나돌아
광주지역 한 국회의원의 측근은 “여당 실세인 ㄱ의원이 사석에서 기아차에 취직을 시킬 수 있다는 말을 하고 다녔다”고 이런 정황을 뒷받침했다. 실제로 기아차는 지난해 12월 입사비리 관련 감사를 통해 생산 계약직으로 채용한 1079명 가운데 575명이 나이와 학력 등 요건에서 부적격자라고 판정했다. 그러나 기아차가 밝힌 자료에는 부적격자 수가 475명으로 줄었다. 노동계 인사들은 ‘외부 몫’ 100명이 통째로 빠진 것으로 풀이했다. 광주시청과 광주시의회 주변에도 청탁한 정황이 엿보인다. 광주시청의 한 공무원은 “기아차에 취직을 시켜 달라는 청탁이 많이 들어온 것은 사실”이라며 “모두 거절했고 한 건은 추천을 했다”고 말했다. 광주시의회 한 의원은 “지난해 10월께 회사 쪽 고위 간부에게 말을 꺼낸 적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뜻을 이루지 못했다. 업무 연관성이 있는 소방·경찰·노동 등지로도 추천 범위가 확대됐을 가능성이 높다. 생산직 ㄴ(37)씨는 광주서부소방서 고위직의 자녀로 1997년께 불미스런 일로 회사를 그만뒀으나 2년 뒤 재입사하기도 했다. 한 노조 간부는 “입사 규정상 한번 나가면 채용하기 힘든데도 다시 들어와 화제가 됐다”며 “ㄴ씨를 통해 소방서나 경찰서 등에 채용을 할당한다는 이야기가 나돌았다”고 전했다. 광주서부경찰서 경찰관의 친척인 ㄷ씨도 지난해 생산 계약직으로 채용됐다. 또 광주지방노동청은 2002년 채용 때 ‘좋은 사람 있으면 추천하라’는 통보를 받았으나 ‘코를 꿸 우려가 있다’며 거부했다. 한 노조 전임 간부는 “채용 때 추천 비율을 회사 40%, 노조 30%, 외부 30% 식으로 할당했다는 말이 돌았다”며 “형식적으로 추천 제도를 폐지했지만 전화를 통해 암묵적으로 이뤄지는 채용 청탁은 뿌리가 깊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광주공장 인사관리팀 쪽은 “2002년 입사지원서에 추천자 이름을 쓰는 난을 없애고, 통계 분석을 위해 지원자를 사내추천·사외추천·기타 등 3가지로 분류해왔다”며 “외부 할당은 있을 수 없다”고 부인했다. 광주/안관옥 정대하 김태규 기자 okahn@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