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9.02 17:16
수정 : 2019.09.02 17:23
|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2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
같은 고등학교 학부모들끼리 ‘스펙 품앗이’ 의혹에
조 후보자 “단국대 장 교수 아이 이름도 얼굴도 모른다”
|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2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딸을 의학 논문 제1 저자로 올린 단국대학교 의대 장아무개 교수의 아들이 2009년 서울대학교 공익법센터에서 인턴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조 후보자는 서울대 공익법센터 소속 교수였기 때문에 같은 고등학교 학부모들끼리 ‘스펙 품앗이’를 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더 짙어지게 됐다.
조 후보자는 2일 오후 국회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단국대 그 교수와 나는 전화번호도 모르고 연락한 적도 없다. 장 교수의 아이 역시 이름도 모르고 얼굴도 모른다”며 “서울대 그 센터(공익법센터)의 경우 그 고등학교에 속해 있는 동아리가 그 센터 소속의 행정실에 연락해 (인턴을) 간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장 교수의 아들이 서울대에서 인턴을 했더라도 자신을 통한 것이 아니라는 취지다.
조 후보자의 딸은 한영외국어고등학교 2학년 때인 2008년 단국대 의대 의과학연구소의 장 교수 밑에서 2주일 동안 인턴을 한 뒤 2009년 3월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에 제1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그리고 그 두 달 뒤인 2009년 5월 같은 한영외고 유학반(OSP·Overseas study program)인 조 후보자의 딸과 장 교수의 아들이 함께 서울대 공익법센터의 인턴 활동을 한 것이다. 장 교수의 아들은 고등학교를 마친 뒤 미국에 있는 대학에 진학했다.
조 후보자는 딸이 장 교수의 연구실에서 인턴을 하는 과정에도 자신은 개입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그 당시에는 그 과정(딸의 인턴)에 대해 상세히 알지 못했고 최근 검증 과정에서 확인했다. 학부형 참여 인턴십은 나나 내 배우자가 만든 것이 아니라 아이가 재학 중인 고등학교의 담당 선생님이 만들고 그 프로그램에 아이가 참여한 것”이라며 “그 과정에서 나나 그 어느 누구도 그 교수(장 교수)에게 연락을 한 적이 없다. 논문 제1 저자와 관련해서도 그 교수에게 우리 가족 어느 누구도 연락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같은 해명은 장 교수가 앞서 여러 언론에서 ‘조 후보자의 아내가 나의 아내에게 연락해와 딸 조씨가 인턴을 하게 됐다’는 취지로 해명한 것과 차이가 난다. 또 조 후보자의 딸과 같은 시기에 한영외고를 다닌 학생과 한영외고 쪽이 ‘학부형 인턴십’은 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운영한 것이 아니라고 밝힌 것과도 차이가 있다. 물론 조 후보자의 딸이 참여한 인턴십 프로그램이 당시 한영외고 유학반 담당 교사가 임의로 운영한 프로그램일 수는 있다. 이 때문에 당시 조 후보자의 딸과 장 교수의 아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각각 단국대와 서울대 인턴십을 했는지 등에 대한 명확한 진상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김민제 정환봉 기자
summer@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