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자들이 사라지고 있다
홍살문에 목을 매 사라지든 정신병동에서 숨죽이며 사라지든 실종으로 사라지든 살인으로 사라지든 유사 이래로 여자들의 사라짐은 계속되고 있다 무명씨로 살았던 여자들 그 존재는 끊임없이 익명화된다 이 프로젝트는 더 이상 여자들이 사라지지 않을 때까지 지속될 것이다“ -‘사라지는 여자들’ 사이트에서 |
가부장제·폭력 항의 뜻 담아…항일투쟁가·성매매 희생자등
이름 없이 스러진 여성들…사이버 공간서 추모제 열어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지만, 여자가 죽으면 아무 것도 남지 않는다. 무명지에 쓴 혈서와 끊어진 손가락을 일본에 보냈던 남자현, 독립 운동을 하다가 남편이 죽자 “남편 잡아먹은 년”이라고 고발당한 강주룡, 말 타고 쌍권총 쏘면서 병기조달 책임을 맡았던 항일 사수 김마리아, 연쇄살인범의 손에 죽임을 당한 여성들의 공통점은 ‘누구도 기억해주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최근 페미니즘 미술가집단 ‘입김’이 ‘사라진 여자들을 위한 추모 웹사이트’(www.sarajinwomen.org)를 열었다. 여자들만의 초혼제인 셈이다. ‘입김’은 지난 97년 8명( 곽은숙, 김명진, 류준화, 제미란, 정정엽, 우신희, 윤희수, 하인선)의 여성미술가들이 사회에 여성성의 숨결을 불어넣겠다는 취지로 만든 단체. ‘사라지는 여자들’은 이들의 화두와도 같았다. 회원 우신희씨는 “단체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 왜 위대한 여성예술가는 없는지에 대해 토론하곤 했었다”며 추모 웹사이트의 출발을 설명했다. 결정적으로 이들의 작업에 불씨를 당긴 건 화성 연쇄살인사건과 유영철 연쇄살인사건 등 유독 여성이 많이 희생된 각종 사건들이었다. “여자들은 태어날 때부터 위축됩니다. 자라면서 밤거리를 다닐 때 조심하라는 충고를 듣습니다. 불안과 공포에 늘 시달립니다. 늘 불안정한 존재로 살다 죽고 나면 여자라는 이유로 이름과 존재 자체가 사라져버리는 거죠.” 이번 추모 웹사이트 제작 기획을 맡은 정정엽씨는 “사라진 여자들을 발굴하고, 애도의 장을 만들고, 사라지는 여자들에 대한 탐구와 성찰의 기회를 마련하려고 했다”며 기획 취지를 밝혔다. 7개월간의 준비를 거쳐 탄생한 이 사이버 추모 공간에서는 남성들의 폭력으로 죽음을 맞은 여자들, 업적이 있는데도 인정받지 못한 여성들을 만날 수 있다. 군산 대명동 성매매지역 화재로 숨진 ‘꽃같은 딸’들, 유영철 연쇄살인사건 희생자들, 숙종 28년 가정폭력에 시달리다 이혼한 뒤 사회에 대한 항거로 자살한 향랑, 일제시대 파업을 주도한 여성노동자 강주룡, 일제시대 경찰국에 폭탄을 투척한 의열 여장부인 안경신, 조선말 하급 무수리로 개화사상에 눈을 떠 갑신정변에 합세한 뒤 대역죄인으로 죽음을 맞은 고대수 등 잘 알려지지 않은 여성들의 이야기가 그림과 플래시로 누리꾼을 맞는다.
|
여자들을 지우지 말라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