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광주 ‘나눔의 집’ 부설
‘일본군 성노예’ 주제 인권테마박물관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박옥선(앞줄 왼쪽 넷째), 이옥선 할머니(오른쪽 넷째)가 23일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 집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재개관식’에 참석해 개관 테이프를 자르고 있다. 광주/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박옥선(앞줄 왼쪽부터), 이옥선 할머니가 23일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 집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재개관식’에 참석해 각 국별 위안소 분포도를 살펴보고 있다. 광주/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옥선(앞줄 오른쪽부터), 박옥선 할머니가 23일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 집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재개관식’에 참석해 전시물을 살펴보고 있다. 광주/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
|
청소년들이 당시 기록물들을 살펴보고 있다. 광주/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
|
당시 위안소를 재현한 공간. 광주/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
|
역사과에 전시 중인 일본군의 녹슨 철모. 광주/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옥선(왼쪽 셋째) 할머니가 23일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 집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재개관식’에서 감사 인사를 하고 있다. 광주/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박옥선(앞줄 오른쪽 둘째), 이옥선 할머니(앞줄 왼쪽 둘째)가 23일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 집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재개관식’에 참석해 축가를 들으며 손뼉을 치고 있다. 광주/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