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름다운재단이 2013년 5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군자 할머니 기념 부조를 제작하면서 붙인 말입니다.
7월23일 오전 8시4분 우리 곁을 떠난 김 할머니는 2000년과 2006년 두 차례에 걸쳐 모두 1억원을 아름다운재단에 기부했습니다.
장사하며 모은 돈과 정부 생계지원금 등을 천원 남짓한 음료수 한 병 허투루 사 먹지 않고 모아 자신처럼 부모를 잃고 배움의 기회에서 멀어진 학생들을 위해 내놓은 겁니다.
할머니는 일본 정부가 진심으로 사죄하고 피해 배상을 하면 그 돈 역시 사회에 기부하려 했습니다.
<한겨레>는 김군자 할머니의 영면을 맞아 할머니의 삶을 다시 돌아보려 합니다.
‘위안부’ 피해를 세상에 널리 알린 ‘용감한 증언자’로, 수백 명 학생이 학업을 이어갈 수 있게 도와준 ‘기부 박사’로 할머니는 영원히 기억될 것입니다.
■ 할머니는 ‘용감한 증언자’ 문재인 대통령은 23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할머니를 “강인한 생존자, 용감한 증언자”라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2015년 12월31일 더불어민주당 대표 시절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을 방문해 할머니를 직접 만난 인연이 있습니다.
|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015년 12월31일 오후 경기도 광주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쉼터 나눔의 집을 방문해 김군자 할머니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
“죽기 전에 일본의 사과를 받아내야겠다는 생각으로 미국 땅까지 오게 됐다. 내 몸 곳곳에는 너무나 많은 흉터들이 남아 있고 죽지 않을 만큼 매를 맞았다.”
“위안소에서 하루 평균 20명, 많게는 40명까지 일본군을 상대하는 지옥과 같은 생활을 했다. 우리는 지금 돈을 원하는 게 아니며, 그들이 저지른 인권 유린과 전쟁 범죄 행위에 대해 치러야 할 대가가 있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다.”
“일본 정부는 우리를 인간으로 취급하지 않았다”
“많은 (위안부 출신) 할머니들이 죽었지만 역사는 살아있을 것이다. 망가진 내 인생을 돈으로 보상할 수 없다.”
|
2007년 2월15일 오후(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하원 외무위에서 열린 ‘위안부’ 청문회에서 피해 할머니들이 방청석에서 참관하고 있다. 왼쪽에서 두 번째가 김군자 할머니다. 국회사진기자단
|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군자 할머니가 2007년 3월1일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원당리 나눔의 집에서 열린 2007나눔의 집 정월 대보름 지신밟기 행사에서 지난 미 의회 청문회 참가 소감을 말하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군자 할머니가 2015년 12월29일 오후 경기도 광주시 나눔의집에서 조태열 외교부 2차관이 방문해 대화를 하던 중 고개를 떨구고 있다.
|
|
2000년 8월30일 아름다운재단에서 열린 김군자 할머니 기금 전달식. 사진 아름다운재단 제공
|
“내가 고아였거든. 배운 것이라곤 야학 8개월이 전부야. 어려서 부모를 잃고 못 배운 탓에 삶이 그렇게 힘들었던 것만 같아서…. 조금 배웠더라면 그렇게 힘들게 살진 않았을 텐데 하는 생각이 자주 들었어. 가난하고 부모 없는 아이들이 배울 기회만이라도 갖도록 돕고 싶어. 그런데 너무 작은 돈이라 부끄럽고 미안해.”
|
2000년 8월30일 아름다운재단에서 열린 김군자 할머니 기금 전달식에서 김 할머니가 자신의 이름을 쓴 ‘나눔의 잎’을 달고 있다. 어려운 가정환경과 ‘위안부’ 강제 동원으로 글을 제대로 배우지 못한 김 할머니는 자신의 이름을 또박또박 써내려갔다. 사진 아름다운재단 제공
|
|
2000년 8월30일 아름다운재단에서 열린 김군자 할머니 기금 전달식에서 김 할머니가 자신의 이름을 쓴 ‘나눔의 잎’을 달고 있다. 어려운 가정 환경과 ‘위안부’ 강제 동원으로 글을 제대로 배우지 못한 김 할머니는 자신의 이름을 또박또박 써내려갔다. 사진 아름다운재단 제공
|
“가만 보니까 1년 동안 아껴 모으면 1천만원은 모을 수 있더군. 돈 많은 양반들에겐 별거 아니겠지만, 나한텐 쉽지 않았어요. 옷이야 몸에 냄새나지 않을 정도만 갖추면 되는 거고, 먹고 자는 거야 몸 누일 곳이 있으니 됐고. 돈이 들어오면 그저 아이들에게 장학금 주고 싶다는 마음으로 차곡차곡 모은 거야. 모쪼록 부모 없이 공부하려고 고생하는 아이들에게 잘 전해줘요.”
|
2014년 12월19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민추천포상 수여식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평생 모은 재산 1억 여원을 기부한 ‘위안부’ 피해자 김군자씨에게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여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
2016년 추석 나눔의 집을 찾아온 ‘김군자할머니기금’ 장학생들에게 김군자 할머니가 훈장(국민훈장 동백장)을 보여주며 웃고 있다. 사진 아름다운재단 제공
|
“할머니께서 기부해주신 덕분에 등록금을 댈 수 있었습니다. 이 사회에서 다른 사람을 도와줄 수 있고 다시 돌아봐줄 수 있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