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제주 온 지 6년…내 꿈은 진행형
    2009년 11월30일, 나는 제주행 비행기를 탔다. 돈도 경험도 연고도 없는 제주에서 만삭 아내와 함께 30년은 족히 됐을 것 같은 아파트에서 제주 생활을 시작한 것이다. 당시만 해도 제주에서...
    2015-09-16 19:42
  • 사과라면 뱀의 유혹, 오렌지라면 결혼할 운명
    서양의 그림 속에서 음식은 생김새나 상태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읽힌다. 가령 과일의 경우 싱싱하고 완전한 모양이면 청춘과 순결을, 그와 대비하여 베어 먹히거나 썩어가는 이미지는 순진...
    2015-09-16 19:40
  • 중국 외식시장이 요동친다
    이번에는 중국의 외식 흐름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최근 몇 년간 베이징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호텔 체인을 포함해서 엄청난 수의 호텔들이 문을 열었다. 경쟁이 치열해지다 보니 ...
    2015-09-16 19:36
  • 너무 편한데 너무 피곤한 한국
    시간여행 같았다. 운동장 두 개쯤 붙여놓은 부탄 파로공항에서 뜬 비행기가 방콕을 거쳐 인천공항에 도착했을 때 어리둥절했다. 석달차 부탄 주민인 내게 한국은 정말 없는 게 없는 별천지였...
    2015-09-16 19:35
  • “‘표백’도 ‘한국이 싫어서’도 애국소설이에요”
    장강명은 소설가다. 2011년 <표백>이란 작품으로 한겨레문학상을 받으며 등단했다고 하는데, 안 읽어봤다. 관심 없었다. 그런데 갑자기 어느 날 장강명이 상금을 휩쓸고 있다는 이야기...
    2015-09-16 19:34
  • 중화요리 르네상스
    오는 10월14일, 케이블채널 <에스비에스(SBS) 플러스>에서 요리 프로그램 <중화대반점>이 첫 방송을 탈 예정이다. 새로 결성된 중식 4대 문파의 수장인 이연복, 여경래, 유방녕,...
    2015-09-09 20:37
  • 무말랭이짜장면을 아시나요?
    1960~70년대 당신이 총무부 직원이었다면? 맛깔스러운 야유회 도시락을 준비하는 중책을 맡았다면? 난감하다. 아마도 그 시절에 살았다면 당신은 바로 규모가 큰 중식당에 전화를 걸었을 것...
    2015-09-09 19:47
  • 정치 밀담 나눈 그 중국집, 이제는 없어
    한국 중식사는 화교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 중식계에서 이름을 날리는 곡금초, 후덕죽, 왕육성, 이연복, 여경래, 여경옥 등의 요리사들은 모두 화교다. 화교의 삶이 날실과 씨실로 교차하면서 우리 식문화의 한 축을 담당했었...
    2015-09-09 19:42
  • 색소폰이 노래한다…내 나이가 어때서
    지난 3일 저녁 경기도 성남시 한국지역난방공사 분당지사 입구. 보안이 철저한 이곳에 들어가려 하니 경비요원이 막아섰다. “어디 가십니까?” “색소폰 불러 왔어요.” 경비요원은 가지고 있던...
    2015-09-09 19:41
  • 그리운 고양이 친구야, 잘 살고 있니
    요즘은 천안에만 살아서 서울에 가면 눈이 휘황하다. 그래도 아는 데라고 서울 오면 찾아가는 상수동 카페 ‘그문화다방’에는 사람 나이로 이제 불혹쯤 되는 ‘김검둥’이라는 검정 래브라도 리...
    2015-09-09 19:3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