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8.08 16:34 수정 : 2007.08.08 20:53

<남극산책> 고경남 지음, 북센스 펴냄.

[매거진 Esc] 이다혜의 재밌게 읽자

<남극산책> 고경남 지음, 북센스 펴냄.

벽걸이 달력의 8월엔, 서로 짜맞추기라도 한 듯 파란색이 단골로 쓰인다. 투명할수록 좋다. 숨만 쉬어도 땀이 줄줄 흐르는 때에, 여름 휴가 날짜를 찾으려고, 혹은 8월이 며칠이나 남았나 세려고 달력을 볼 때 파란색이 있으면 기분이 약간은 나아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 같다. 동네 호프집 달력의 주인공 아가씨가 사시사철 벗고 있는 걸 보면 모든 달력 제작자들이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지도 모르겠다만.

시원한 그림을 찾다가 발견한 게 <남극산책>이었다. 바람과 얼음의 대륙 남극이라니. 책장을 넘기면서 울고 싶은 기분이 되었다. 남극에 가고 싶다. 이곳에서라면 내 별명은 ‘이땀나’가 아니어도 될 것이다. 일 주일, 한 달 여행 다녀와서 사진 좀 찍어 여행기랍시고 내는 책들이 신간 진열대에 늘어가는 이런 시대에, 무려 남극에서 1년을 보낸 기록을 모은 <남극산책>은 바보처럼 성실해 보인다. 지은이 고경남이 남극 세종기지에서 의료담당으로 보낸 시간은 많은 사진과 사진에 어울리는 짧은 글로 남았다. 인간의 상상력이 다 그려낼 수 없는 대자연의 가혹한 아름다움은 그저 경이롭다.

남극에서 자주 보인다는 지의류인 우스네아는 차고 메마른 겨울에는 완전히 말라 사실상 죽어버린 뒤 봄이 되어 눈이 녹아 수분이 공급되면 사방으로 빨판을 뻗치
이다혜의 재밌게 읽자
며 부활한다. 살기 위해 죽고, 죽었기 때문에 다시 살아 몇 세대를 이어가는 것이다. 빙벽은 그림 같다는 말로 다 묘사할 수 없을 정도로 끔찍하게 아름답다. “가까이에서 빙벽을 보고 나면, 다른 어떤 것에도 감탄하지 않게 된다”는 저자의 말을 사진으로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다. 그 어떤 생명체도 죽음과 등을 맞대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다. 봄은 짧고, 여름이면 이미 극한의 추위를 준비하느라 여념이 없을 것이다. 인생의 봄이라고 할 수 있는 학창시절을 제외하고는 내내 혹한의 시간, 노동이 불가능한 시간을 두려워하며 죽도록 일하는 게 삶의 실체다. 그 사실을 해가 갈수록 뼈아프게 실감하기 때문인가, 늘 겨울인 땅에서 순간의 따뜻함을 만끽하는 존재들, 그들을 위협하는 듯하지만 그들과 공존할 줄 아는 자연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사진들의 치유의 힘은 단순히 여름 무더위를 달래주는 것 이상이다.

좌충우돌 독서가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