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8.29 18:52 수정 : 2007.08.29 18:52

월하성 마을에 사는 어부 김청명, 김의선씨 부부의 아침 뱃길.

[매거진 Esc] 사진작가, 바다를 찍다 ⑨ 허용무의 서천 월하성 마을

월하성 마을로 가는 길은 오늘도 비가 내린다. 국지성 호우다, 태풍이다 하며 변덕스런 날씨 탓에 마음 졸이며 몇 번을 오르내린 길이다. 게다가 어촌의 풍경과 어부들 사진도 찍어야 하는데 7∼8월은 바다에 나가 고기를 잡을 수 없는 금어기라고 하니 내가 아마도 벌을 받고 있나 하는 생각마저 든다. 내가 단행본에 “사진을 찍는 것은 반은 노는 것이나 마찬가지다”라는 글을 썼더니, 한 후배가 “허 선배가 그렇게 글을 쓰면 평소에도 사진 찍는 일이 나가서 노는 줄 아는 마누라가 나를 어떻게 생각하겠느냐”고 핀잔 주던 일이 갑자기 생각났기 때문이다. 그래 맞다! 나는 지금 벌을 받고 있는 것이다. 일기예보에도 날씨가 갠다고 하였는데도 비가 내리고 있지 않은가.

김씨 부부의 부지런한 손놀림이 한없이 아름답다.
갯벌에서 잡은 바지락은 바다의 또다른 맛이다.
높아진 수온 탓에 서해까지 올라온 문어

마을 앞길 양쪽에 흐드러지게 피어 있는 붉은 배롱나무 꽃잎이 비에 젖으니 핏빛으로 더욱 아름답다. 내리는 빗속에 아직 새벽 기운이 남아 있는 터라 눈앞의 세상이 꿈결인지 현실인지 분간조차 힘들다. 어둠이 물러나자 옹기종기 모여 있는 마을 집들 사이로 작은 섬들이 떠 있고, 섬 너머로는 끝없는 바다가 펼쳐져 있다. 비구름 사이로 수평선 끝에 얇은 햇살이 상큼한 바닷바람을 타고 포구를 비춘다. 바람에 몸을 내맡긴 갈매기들은 깨끗하고도 날렵하다.

물이 빠지자 월하성 마을 앞바다 양쪽으로 끝이 보이지 않는 갯벌이 드러났다. 조수 간만의 차가 크기 때문에 이곳을 드나드는 배들은 커도 2t(톤) 미만인데 그마저도 바다로 나가기 위해서는 경운기나 트랙터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게다가 금어기라서 바닷일 하러 나가는 배도 몇 척 안 될 뿐 아니라 날씨마저도 며칠째 좋질 않아, 어렵게 수소문한 끝에 바다 한가운데에서 문어잡이 배에 옮겨 탈 수 있었다. 잔잔한 포구와는 달리 파도가 사뭇 거칠었다.

문어잡이 배 주인인 김청명(63)씨는 초등학교 때 완도에서 월하성으로 이사 왔고, 월하성에서 나고 자란 김의선(54)씨를 만나 결혼해서 네 명의 자녀를 뒀다. 김씨는 20대 초반에 뱃일을 시작해서 40년 가까운 세월을 이곳 월하성 앞바다에서 고기를 잡고 있다.


부부는 묵묵히 일했다. 남편의 일은 며칠 전에 쳐놓은 통발을 거둬들여 통발 안에 들어 있는 문어와 잡고기들을 바닥에 쏟아 놓는 것이다. 부인은 문어와 고기를 분류해서 재빠르게 물통에 집어 넣고, 다시 통발 안에 미끼를 넣고 접어서 차곡차곡 쌓아둔다. 그이들의 작업은 바람과 파도가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할 만큼 집중과 반복의 연속이었다.

25년을 함께 몸의 힘으로 삶을 이겨 온 모습이 힘차면서도 참 아름답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거친 바다에서도 작업하는 몸동작들은 전혀 흐트러짐 없이 매끄러웠고 군더더기마저도 찾아볼 수 없다. 잘 다듬어진 발레리나의 춤동작보다도 더 아름답게 느껴졌다. 그 절제된 움직임에서는 나이를 뛰어넘어 건강하게 살아 있는 생명의 에너지가 넘쳐나고 있었다. 한참 후에야 나는 알게 됐다. 부부의 몸놀림 하나하나가 신호이고, 말이고, 소통이고, 믿음이라는 것을….

새벽 4시부터 시작된 작업은 아침 8시가 지나야 끝이 났다. 보통 하루에 20㎏쯤 잡히는데, 며칠 만에 나왔더니 오늘은 40㎏이 되었다. 해마다 잡히는 양이 줄어들어 걱정이었는데, 남해안에서나 잡히던 문어가 잡혀 올해 살림에 많은 도움이 되었단다. 이는 바닷물의 온도가 높아진 탓이다. 언제까지 고기잡이를 하실 생각이냐고 물었더니, “아저씨가 건강하면 일흔까지는 해야지요” 하신다. 김의선씨의 바램이다.

평화롭고 작은 어촌마을이라고 변화의 바람이 비켜 지나가진 않는다. 바다 오염에서 비롯된 환경 변화와 어족 자원의 고갈로 어획량이 해마다 크게 줄어들어 어민들의 처지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너도 나도 작은 삽을 들고 갯벌로 향한다.
서천군이 주최한 갯벌 세미누드 달리기 대회.
갯벌이 돈이 되는 시대가 왔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동력의 힘으로, 기계의 힘으로, 첨단 장비의 도움으로 바닷일은 쉬워졌고 삶은 풍요로워졌다. 그리고 갯벌이 돈이 되는 시대가 됐다. 행복을 이러한 물질적인 측면으로만 본다면, 분명 우리 삶은 과거에 비해 행복해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의 삶과 자연이 함께 공존할 수 없다면 반드시 행복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 어떤 삶이 좋은 삶이고, 어떤 삶이 나쁜 삶인지, 좋은 삶을 살기 위해서 우리는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 나는 알지 못한다. 하지만 수만년 동안 바다와 어부가 지혜의 힘으로 공존했듯이, 그 지혜로움의 힘으로 바다와 어부가 공존했던 만큼이나 오랜 시간 동안 건강한 몸의 노래가, 생명의 에너지가 월하성 앞바다에서 울려 퍼지기를 기대한다. 배롱나무 붉은 꽃잎을 볼 때마다 건강한 에너지를 가진 월하성 마을의 아름다운 부부가 생각날 것이다.

일을 끝내고 나니, 사진 찍는 일은 어찌 보면 반은 노는 것이나 마찬가지다라고 쓴 그 말이 다시 맞다는 생각이 든다. 사진을 찍을 때 말고는 여기저기 기웃거리고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그들의 삶을 관찰하니 말이다. 사진가라는 것이 행복하다.

허용무 / 사진작가·동신대 문화기획학과 교수

월하성의 ‘한여름 달밤 횃불축제’는 마을의 큰 축제다.
물이 빠지고 펼쳐질 갯벌을 기다리는 주민들.

월하성 마을 여행쪽지

해돋이·해넘이를 한 곳에서

■ 갯벌체험장이 운영된다. 어촌계에 미리 물때를 물어본다. 어촌계 041-952-7060, 어촌계장 011-436-4391. 입장료는 어른 3천원, 아이들은 무료다. 소금·삽·호미 등 장비는 각각 1천원씩. 망태기는 무료. 월하성마을 홈페이지 www.walhs.com, 서천군청 홈페이지 www.seocheon.go.kr/tour

■ 주변에 둘러볼 곳이 많다. 서해안 최대의 해양박물관인 서천해양박물관에선 세계적인 희귀 어종 등 15만여 점에 이르는 바다동물을 전시하고 있다. 마량포 해돋이 마을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해돋이, 해넘이를 한곳에서 볼 수 있는 곳. 11월에서 2월 중순까지 동남 방향에서 해가 뜨기 때문에 해돋이와 해넘이를 한꺼번에 볼 수 있다. 동백정과 동백나무 숲은 마량리 수군첨사가 450년 전 제단 옆에 심은 것이 오늘날 명물이 되었다. 85그루의 아름드리 동백나무가 있는데 4월이면 동백꽃이 만발하여 장관을 이룬다. 야산 기슭에 동백정이 있다.

■ 서천 월하성마을 가는 길

서해안고속도로 춘장대 나들목~서천 비인~비인 네거리(우회전)~춘장대해수욕장 방향 2㎞~서면면사무소~500m 전방에 ‘갯벌체험 월하성마을’ 입간판

아름다운 어촌 찾아가자

한국어촌어항협회는 ‘아름다운 어촌 찾아가기 체험행사’의 참가 신청을 받는다고 29일 밝혔다. 아름다운 어촌 찾아가기는 지난 3월부터 한국어촌어항협회, 해양수산부, 전라남도가 함께 주관하는 체험형 관광 프로그램이다. 갯벌체험(조개잡기, 낙지잡기), 어장체험(이각그물 고기잡이 관람, 자리그물 고기잡이 체험)을 비롯해 전통어법(후릿그물, 독살, 개막이) 등을 마을에 따라 즐길 수 있다.

해양관광 포털 바다여행(www.seantour.com)에서 무안 송계마을, 해남 사구마을, 영광 두우마을, 고성 대진마을, 영덕 창포마을 등 11곳의 참가 신청을 받는다. 9∼10월 중 1박2일로 진행되며 서울, 부산, 대구, 광주, 울산 등에서 출발한다. 50%의 여행 경비가 지원된다. 문의 한국어촌어항협회 (02)3673-2853∼4.

남종영 기자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