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친년 프로젝트’연작으로 여성에 대한 사회의 금기를 깨뜨린 박영숙
|
[매거진 Esc] 한국의 사진가들
‘미친년 프로젝트’연작으로 여성에 대한 사회의 금기를 깨뜨린 박영숙 정신병원 복도에 한 여자가 서성인다. 유리창에서 들어오는 얇은 불빛만이 그 여자를 감싸 안는다. 그 여자는 커다란 베개 뭉치를 들고 눈을 하얗게 뜬 ‘미친 년’이다. 사진가 박영숙(66)은 그 여자에게서 눈을 뗄 수가 없다. ‘그 여자는 아기를 빼앗겼어. 폭력을 경험했을 거야. 큰 고통이 자기 자신을 놓아버리게 만들었어. 베개는 빼앗긴 아이야! ’ 1999년, 박영숙의 ‘미친년 프로젝트’는 이렇게 시작했다. “싫어!!! 안돼”에서 ‘꽃이 그녀를 흔들다’까지‘미친년 프로젝트’는 박영숙의 대표적인 사진작업이다. 1999년부터 2005년까지 ‘싫어!!! 안돼-1999’, ‘난 잘 몰랐어요-2001’, ‘갇힌 몸, 정처 없는 마음-2002’, ‘화폐개혁 프로젝트-2003’, ‘헤이리여신 우마드-2004’, ‘내 안의 마녀-2005’, ‘꽃이 그녀를 흔들다-2005’ 등 7개 테마를 자신의 카메라에 담았다. 여성의 삶과 몸이 남성 중심적인 사회에서 어떻게 폭력적으로 점령당하는지를 직설적으로 드러낸 작품들이다. ‘싫어!!! 안돼-1999’는 남성사회에서 ‘착하게만 살아야’ 했던 여자들의 숨은 광기를 드러냈다면 ‘난 잘 몰랐어요-2001’은 여성 자신도 모르게 갈취당한 성을 표현했다. ‘갇힌 몸, 정처 없는 마음-2002’는 주부로서 어머니로서 일상에 갇힌 여성들의 탈출을 꿈꾸고 ‘화폐개혁 프로젝트-2003’은 돈의 권력에 소외된 여성을 사진으로 표현했다. ‘내 안의 마녀-2005’, ‘꽃이 그녀를 흔들다-2005’는 여성 안에 ‘마녀성’을 끄집어내어 자신의 삶을 살도록 독려한다. ‘미친년’은 여성에 대한 비하이자 동시에 두려움이다. 박영숙은 세상이 여성에게 던지는 그 미묘한 감정을 포착했다. 그가 자신의 작업을 ‘여성’에게 집중한 것은 자신이 여성이기도 하지만 젊은 날 잡지사 사진기자, 각종 사진활동을 하면서 끊임없이 세상(남성)과 부딪힌 경험이 바탕이 되었다. “내 사진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말들이 많았다. 그들(남성)과 나는 달랐다. 그 논리적인 근거를 만들어야 되겠다고 생각했다.”
|
미친년 프로젝트 1999. 싫어!!! 안돼-1999. 갇힌 몸 정처 없는 마음-2002. 꽃이그녀를 흔들다 2005. (위 왼쪽부터 시계방향)
|
![]() |
헤이리 여신 우마드 2004(분노의 여신)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