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장마차를 운영하려면 다른 포장마차와 분쟁이 벌어지지 않도록 메뉴를 사전에 조정해야 한다.
|
‘삶은달걀 시비’로 촉발됐던 광주 포장마차 폭행사건의 이면을 들여다보니 폭력은 벼락처럼 예기치 않았던 데서 벌어진다. 30여년 전 ‘축구 전쟁’이 있었다. 70년 월드컵 예선에서 온두라스와 엘살바도르가 맞붙었다. 자국민들의 험악한 응원 아래서 양쪽은 원정에서 모두 패해 1승씩을 주고받았다. 양국 응원단이 충돌해 사망자가 생겼다. 세번째 승부가 무승부로 끝났지만, 진짜 전쟁이 벌어졌다. 호사가 언론들은 ‘축구 전쟁’이라는 장난스런 이름으로 이 사건을 칭했다. 그러나 사건의 이면에는 양국의 고질적인 국경분쟁이 있었다. 구조를 보지 못할 때 모든 사건은 그저 ‘해외 토픽’에 머문다. ‘담합’ 거부하자 리어커 걷어차며 응징 지난달 중순 몇몇 언론에 보도된 ‘떡볶이 전쟁’의 이면에는 무엇이 있었을까? 광주 북부경찰서는 다른 떡볶이 포장마차 운영자의 물건을 부순 혐의(재물손괴) 등으로 노점상 김아무개(50)씨를 지난달 11일 불구속 입건했다고 밝혔다. 경찰의 설명을 종합하면, 김씨는 광주 북구 전남대 후문 근처에서 떡볶이 포장마차를 운영했다. 김씨는 “달걀 값이 올라 수지가 맞지 않고, 일일이 삶은 달걀을 까 넣기 힘드니 앞으로 떡볶이에 삶은 달걀을 넣지 말자”며 다른 포장마차 운영자 7명에게 ‘담합’을 제안했다. 그러나 ㄱ아무개(54)씨는 동의하지 않았다. 합의를 거부한 ㄱ아무개씨에게 즉각 보복이 따랐다. 김씨는 지난달 10일 밤 10시20분께 ㄱ씨의 포장마차를 찾아갔다. 대학생 등 손님 8명이 어묵과 떡볶이를 먹고 있었다. 김씨는 새된 목소리로 욕을 하며 ㄱ씨의 리어카를 걷어차기 시작했다. 김씨는 4살 위 ㄱ씨에게 “시키면 시킨 대로 해라. (안 그러면) 장사를 못 하게 해버리겠다. 네가 (이런 식으로) 장사를 하면 네 포장마차 옆에서 오뎅을 공짜로 다 줘버리겠다”고 퍼부었다. 김씨가 리어카를 잡고 흔드는 바람에 간장통이 어묵통 안으로 빠졌다. 먹고 있던 손님들은 겁에 질려 자리를 떴다. 김씨는 경찰에서도 “ㄱ씨 혼자 달걀 넣은 떡볶이를 팔면 다른 포장마차에 손님이 줄어든다”며 씩씩거렸다. 이에 대해 ㄱ씨는 “가뜩이나 장사도 잘 안되는 마당에 떡볶이에 달걀을 넣지 않으면 그나마 찾던 학생들도 발길을 끊을 것”이라고 항변했다. 떡볶이에 계란을 넣을지에 대해 담합이 이전에도 자주 있었을까? 조직폭력배들이 떡볶이 포장마차를 관리하는 것은 아닌가? 광주 북부경찰서는 이와 관련해 “김씨는 비슷한 혐의의 전과도 없고, 특정 노점상 단체 소속도 아니다”라고 밝혔다. 가장 큰 노점상 단체인 전국노점상총연합회(전노련)도 “광주지역에는 사실상 지부가 없다”고 밝혔다. 적어도 이 사건 뒤에는 ‘조직화된 힘’이 존재하지 않는 셈이다.
![]() |
떡볶이의 배후엔 보이지 않는 손이 있다?
|
“자장면의 달걀도 회복시켜라” 30대 후반 이상이라면 자장면에도 삶은 달걀이 얹혀 있었음을 떠올릴 것이다. 자장면에 얹혀진 달걀은 언제 사라진 것일까? 다음 카페에는 ‘고스통합 자장면 계란회복 전국민 운동본부’가 개설돼 있다. 옛날엔 자장면에 계란을 얹어줬는데 요샌 왜 안 얹어주냐며 ‘회복운동’을 벌이자는 취지로 2002년 만들어졌다. 정보공유를 위해 회원들은 ‘계란 올린 자장면집’과 ‘계란 없는 자장면집’ 게시판을 만들었다. ‘계란 올린 자장면집’ 게시판에는 계란을 올려주는 중국음식점 상호와 연락처를 올린다. ‘계란 없는 자장면집’ 게시판에는 계란을 올리지 않는 중국음식점 이름을 써놓고 ‘테러’를 선동한다. 그러나 구체적인 테러 방법은 없다. 34년째 중국음식점 주방에서 일하고 있는 마포구 공덕동 <남선반점>의 백남선 주방장(48)은 자장면에서 달걀이 사라진 것을 80년대 초반으로 기억한다. 그는 달걀이 사라진 이유로 ‘경제성장론’을 들었다. 백씨는 “70년대까지만 해도 달걀은 고급 음식이었다. 자장면에 올려주면 인기가 많았다”며 “그러나 80년대 초 먹거리 수준이 높아지면서 삶은 달걀을 올려줘도 먹지 않는 손님들이 늘어 결국 자취를 감췄다”고 설명했다. 중국음식점 주인들끼리 “삶은 달걀을 올리지 말자는 담합이 있었던 것 아니냐”고 물었다. 백씨는 30여년 동안 인접한 중국음식점 주인들이 만나는 일 자체가 없었다고 말했다. 고나무 기자 dokko@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