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집 고양이 스밀라. 고양이 털을 날려도 손익계산을 해보면, 고양이 키우기는 그리 손해 보는 일은 아니다.
|
[매거진 Esc] 고경원의 애니멀 퍼스트
고양이를 키우기 전에 나를 가장 두렵게 했던 건 ‘고양이털의 전설’이었다. 고양이와 함께 사는 사람들과 만나 힘든 점을 물으면, 약속이나 한 것처럼 입을 모아 “고양이털이 많이 날려요” 하고 말했기 때문이다. 그까짓 고양이털이 날리면 얼마나 날리겠나 싶어 물어보면, 대답은 한결같았다. 날마다 진공청소기를 돌리고 물걸레로 바닥을 닦아도, 고양이털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게다가 고양이털은 가늘고 가벼워서, 민들레 씨처럼 공기 중에 둥둥 떠다니다가 호흡기로 빨려 들어가기도 한단다. 어렸을 때부터 기관지가 좋지 않았던 내게는 꽤 위협적으로 들리는 경고였다. 좀더 구체적인 사례를 들려주는 사람도 있었다. 한 애묘가는 매번 고양이털이 반찬 그릇에 날아와 앉는 통에, 날마다 반찬 삼아 고양이털을 먹는다고 했다. “고양이털 일일이 신경 쓰면 밥 못 먹어요.” 그 정도쯤이야 초월했다는 표정으로 그가 말했다. 또다른 누군가는 고양이털 때문에 짙은색 옷을 입기 어려울 정도라고 증언했다. 지저분해 보이지 않으려면, 외출할 때마다 고양이털 떼는 도구를 써야 한다는 것이었다. 유독 짙은색 옷이 많다 보니, 그 사람의 말도 한 귀로 흘려 넘길 수 없었다. 한데 얼떨결에 스밀라를 떠맡고, 녀석이 우리 집에 눌러 살리라는 걸 직감했을 때, 스밀라의 털색깔을 유심히 다시 보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고 좌절했다. 스밀라의 등은 옅은 회색이고, 배는 눈처럼 희었다. 스밀라가 우아한 털코트를 휘날리며 동동동동 달려 거실을 가로지르면, 바닥에 가라앉았던 가늘고 하얀 털이 위로 천천히 날아올랐다. 흔들면 하얀 눈가루가 솟구쳤다 내려앉는 스노볼 같았다.
![]() |
고경원의 애니멀 퍼스트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