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1.23 23:40 수정 : 2008.01.23 23:50

아시아 지도자들에게 영어는 필수다. 2006년 5월 리콴유 싱가포르 전 총리와 노무현 대통령의 만남. 청와대사진기자단

[매거진 Esc] 리처드 파월의 아시안 잉글리시7
리콴유에서 김영삼까지 아시아 지도자들의 영어 실력은

오늘날 아시아 내부의 ‘관계’는 전아시아적으로 펼쳐지기보다는 지역적으로 펼쳐진다. 이를테면 같은 아시아지만 동아시아의 불교문화권과 서아시아의 이슬람문화권은 크게 다르다. 아시아경기대회도 전대륙에 걸쳐 개최되지만, 주최국이 만든 위원회가 운영하고 중국·한국·일본 등 주요 세 나라 선수단의 경쟁만이 지배할 뿐이다.

하지만 요즈음 들어 아시아의 새로운 주체성이 진화한다. 일부는 국제기구나 국가협의체를 통해서다. 아시아 58개국 등이 회원인 유엔아태경제사회위원회(유엔에스갑·본부 방콕)는 아시아에서 가장 큰 국제기구다. 여기서 일하는 직원들은 영어를 유창하게 부려쓴다. 이보다 더 지역적인 조직 유엔 서아시아경제사회위원회(UN-ESCWA·본부 베이루트)는 아랍 13국이 회원인데, 이곳의 인사 담당자들도 역시 영어 구사력을 중요한 선발 조건으로 내세운다. 8개국이 가입한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SAARC)의 경우, 1985년부터 영어로 정상회의를 진행한다. 이중과세에 관한 2005년 협약은 각국의 과세 서류를 모두 영어로 내도록 했을 정도다.

아세안은 유럽연합처럼 사회·경제적 통합을 지향하는 최대의 아시안 지역협의체다. 1967년 창립식 때 말레이어를 공식 언어로 채택했다. 당시 아세안 창립 5개국 가운데 네 나라가 말레이어를 썼기 때문이다. 하지만 30년이 지나자, 말레이어는 제2언어로 내려앉았다. 지금 아세안에서 업무는 영어로 이뤄진다. 영어로는 아무 불편이 없기 때문이다.

2007년 아세안+6 에너지 회담에서는 단 하나의 언어(영어)로만 문서가 작성됐다. 하나의 언어만 써야 효율적인 대화와 토론, 협상의 길을 터주고 통역으로 발생하는 각종 오해를 줄일 수 있다는 암묵적인 공감이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단일 언어’ 정책이 베트남 대표보다 말레이시아나 필리핀 대표에게 유리하게 작용했겠지만 말이다.

리처드 파월
각종 국제회의에 참석하는 아시아 지도자들의 영어 실력은 어떨까? 리콴유 싱가포르 전 총리는 영어 환경에서 자랐다.(약간의 말레이어도 쓰긴 했지만) 그래서 성인이 돼서는 중국어를 배워야 했을 정도다. 말레이시아의 마타히르 전 총리나 파키스탄의 지아 울 하크 장군 등 모국어를 장려하는 지도자들조차도 영어를 구사했다. 스리랑카의 프레마다사 전 총리는 싱할라어로 유창하게 말하는 모습을 보여준 적은 없지만, 주요 문제는 항상 영어로 지시했다. 타이의 탁신 치나왓 전 총리는 적어도 얼굴을 맞대고 이야기할 정도는 돼야 한다며 영어 배우기에 열심이었다고 한다. 중국도 외국어 배우기에 열성을 쏟는 것으로 알려진 장쩌민 전 주석부터 시작해 영어에 능통한 ‘정치 계급’을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아시아 지도자들이 통역은 저리 가라고 할 정도로 훌륭한 영어 실력을 지닌 건 아니다. 아시아 지도자들의 영어 실력을 비꼬는 유모를 들어봤을 것이다. 일본의 모리 전 총리와 미국 클린턴 전 대통령이 만났을 적, 클린턴이 “내가 힐러리의 남편”이라고 소개하자, 모리는 “미 투”(Me too)라고 했다고 한다. 한국의 김영삼 전 대통령은 ‘미스 리’(Miss Lee)와 ‘미 쓰리’(Me three)를 헛갈렸다는 우스갯소리도 떠돈다.

번역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