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2.13 18:57 수정 : 2008.02.13 18:57

<암보다 더 무서운 운동부족병>

[매거진 Esc] 이다혜의 재밌게 읽자

<암보다 더 무서운 운동부족병>
이시하라 유미 지음, 맹보용 옮김, 랜덤하우스 펴냄

한약을 먹고 살을 뺄 수 있다는 선배 김의 말에 혹해 한약 다이어트로 유명한 한의원에 간 일이 있었다. 한의사는 표정 없는 얼굴로 나를 위아래로 훑어보더니 진료대에 누우라고 했다. 배 여기저기를 눌러보고 깊은 한숨을 내쉬길래 갈 길이 멀어서 저러나 했으나 문제는 그게 아니었다. 스트레스가 극심해 ‘홧병’이 생기기 일보직전이라 약을 쓸 수 없으며, 하반신 근력이 너무 약해 운동을 하라고 권할 수도 없다고 했다. 강호동 뺨치는 나의 허벅지에 ‘하반신 허약’이라는 말이 붙었다고 하자 내가 동네 웃음거리가 된 건 말할 나위도 없다. 허벅지가 나처럼 굵건, 박명수처럼 가느다랗던, 근력이 약하면 허약할 수 있다. 이 하체 부실은 나이가 들수록 심해지는데 하체의 근력을 키우면 당뇨나 고혈압까지 해결할 수 있다는 게 <암보다 더 무서운 운동부족병>의 요점이다.

운동부족병을 해결하기 위한 방책은 바로, 걷기다. 하루 1만보를 걸을 수 없다면 밸런스 워킹(배의 근육은 힘을 주어 끌어올리고 착지할 때 뒤꿈치부터 내리는 걸음)과 스쿼트(엉덩이를 뒤로 빼며 무릎 굽혀 앉는 동작)로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하반신을 튼튼하게 하는 음식에 관한 정보도 있긴 하지만, 이 책에서 가장 도움이 되는 부분은 간단한 운동 대목. 그림이 이해를 돕는데, 사실 그림이 필요 없을 정도로 간단한 운동이다. 골다공증 환자를 위한 운동은 번갈아 한쪽 다리로 1분씩 서 있는 게 다다.
이다혜의 재밌게 읽자
하루종일 타이핑을 하느라 손가락 관절이 뻣뻣할 때는 주먹을 폈다 쥐었다 하거나, 엄지에 나머지 손가락을 하나씩 붙이는 것으로 족하다. 어깨결림은 양손을 깍지낀 채 뒤로 돌려 7초간 당기면 되는데 이 간단한 동작으로 통증이 정말 나아지긴 했다. 책 말미에 체조 그림들을 따로 모아두었는데 아예 잘라내어 가지고 다녀도 될 것 같다. 저자 이시하라 유미는 자기 이름을 딴 이시하라 클리닉을 운영하며 일본 전 수상, 국회의원, 의사를 치료하고 있다고 한다. 그렇다고 이 책이 건강 최고의 경전이라고 주장할 생각은 없다. 하지만 이 책은 실천 가능한 간단한 체조법을 이해하기 쉬운 설명을 곁들여 제시하고 있고, 실천에 옮기는 것만큼 좋은 운동은 없다.

이다혜 좌충우돌 독서가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