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2.27 22:15 수정 : 2008.02.27 22:15

누구나 자신의 취향에 대해 솔직할 수 있기를. 그게 ‘길고양이 따라다니기’라고 해도.

[매거진Esc] 고경원의 애니멀 퍼스트

몇 년 전 어느 면접 자리에서 있었던 일이다. 면접이 마무리 단계에 이를 무렵, 면접관이 물었다. “취미는 뭐죠?”

틈나는 대로 헌책방을 다녔고 헌책방 동호회 운영진도 맡았던지라, 별 고민 없이 “헌책방 다니기입니다”하고 답했더니, 면접관이 떨떠름한 얼굴로 되물었다. “다른 취미는요?”

“가끔 구체관절 인형도 만들고, 길고양이 사진도 찍는 것도 좋아하고요.”

면접관의 표정은 헌책방 이야기를 꺼냈을 때보다 한층 더 굳어졌다.

“주로 ‘혼자’ 하는 일이네요.” 그의 말은 짧고 단호했다. 혼자 헌책방이나 뒤지고, 길고양이나 쫓아다니는 게 취미라면 사회성도 부족하지 않겠느냐는 뜻이었다. 면접관은 더이상 아무 질문도 하지 않았다. 물론 그 회사에서도 다시 연락은 없었다.

면접 자리에서 일어나면서 ‘좀더 정치적인 대답을 해야 했을까?’ 싶어 잠시 후회했다. 하지만 ‘관심도 없는 걸 좋아한다고 말할 수는 없잖아. 그런 걸 문제 삼는 회사라면 그냥 가지 마’ 하는 생각도 불끈 들었다.

과거에 비해 애묘 인구가 늘었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 고양이를 좋아하는 취향을 이해받기란 쉽지 않다. “키우려면 개나 키우지, 고양이를 키워요?” 하고 의아한 듯이 묻는 사람이 부지기수다. 게다가 집고양이도 아닌 길고양이를 좋아한다면 더 말할 것도 없다. 그들 앞에서 길고양이의 매력을 이야기하다 보면, 문득 느끼게 된다. 상대방의 머리 위에 ‘이런 고양이 오타쿠를 봤나’라는 대사가 적힌 말풍선이 둥둥 떠다닌다는 걸.


고경원의 애니멀 퍼스트
이런 상황이고 보니, 고양이를 좋아하는 사람들 간에 유독 결집력이 강한 것도 이유가 있는 듯싶다. 좋아하는 대상 때문에 핍박을 당해본 사람이라면, 함께 어려운 시절을 견디는 ‘동지들’에게 끈끈한 동료애를 느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길고양이 이야기를 꺼낼 때마다 뾰족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이들에게 “길고양이를 사랑할 뿐, 오타쿠는 아니다” 하고 말하면 변명처럼 들리려나? 땅을 사랑할 뿐, 투기는 아니라던 어느 장관 후보자처럼.


바람이 있다면, 누구나 좋아하는 대상에 대해 솔직하게 말할 수 있는 세상이 오길 바란다. 그 대상이 다수의 취향과는 동떨어진 것이라고 해도 말이다. 길고양이를, 이구아나를, 악어거북을 좋아한다고 해서 이상한 사람으로 여기기보다, 왜 그런 동물을 좋아하는지 귀 기울이는 사람들이 늘어나기를, 부디 타인의 취향에 관대해지기를.

고경원 길고양이 블로거 http://catstory.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