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3.26 22:02 수정 : 2008.03.26 22:02

화장하는 남자의 아이콘인 장근석. 명동 거리에서 아이라인 그린 남자를 찾기 어렵지 않다.

[매거진 Esc] 나지언의 싱글 라이프

“르네 휘테르를 써보세요.” ‘좋아하는 영화 장르와 하시는 일’을 얘기해야 하는 이 자리에서 어쩌다가 탈모 얘기가 나왔는지 잘 모르겠지만, 그 남자는 탈모에는 프랑스 브랜드 르네 휘테르의 샴푸가 최고라고 했다. 집에 와서 뒤적거려 보니 실제로 르네 휘테르인가 뭔가 하는 그 브랜드는 값이 비싼데도 탈모로 고민하는 사람들이 자주 쓰는 제품이었다. 그럭저럭 말이 잘 통하는 남자를 만났는데도 난 좀 침울해졌다. 나도 몰랐던 그 이유는 선배의 소개팅 경험담을 듣고 나서야 알게 됐다. “그 남자가 자기 여동생이 명품 브랜드 ○○○ 홍보라고 얘기한 이후부터 기분이 괜히 나빠지는 거야.” 바로 그거였다. ‘그 남자는 샴푸의 문외한이어야 했고 어느 샴푸가 좋다고 말해주는 건 내 역할이어야 했어.’

10년 전의 남자들은 마스카라와 마데카솔을 구분하지도 못했는데, 지금의 남자들은 불투명 마스카라와 투명 마스카라를 구분할 줄 아는 쪽에 가까워지고 있다. 올해 1월에 옥션에서 2344명의 남성에게 설문조사한 결과를 보면, 비비크림이나 파우더 등 메이크업 제품을 구입한 남자는 472명(20%), 남성용 마스카라를 구입한 사람은 생각보다 많은 105명(4%)이었다. 인터넷에도 이런 질문이 심심찮게 올라온다. “빅뱅 탑처럼 눈 주변을 까맣게 하고 다니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거예요?” “남자가 쓸 만한 투명 마스카라는 뭐가 있죠?” 요즘 명동에 나가면 장근석과 빅뱅의 탑 영향으로 아이라이너를 그리고 다니는 남자도 드문드문 볼 수 있다. 아이라이너를 섹시하게 잘 그린 남자를 보고 부러웠던 나는 괜히 친구를 타박했다. “가서 어떻게 하는지 좀 물어보고 배워라.”

마치 보수적인 꼰대처럼 난 마스카라 하는 남자들이 조금은 무서워졌다. 눈이 검어서가 아니다. 그루밍족(패션과 미용에 아낌없이 투자하는 남자들)이라는 그들이 나보다 더 많이 아는 게 공포스럽기 때문이다. 자꾸 이런 장면이 상상돼서다. 카를로스 사우라의 1967년작 <얼음에 얼린 박하> 속 주인공 의사는 꾸미는 데는 영 젬병인 간호사를 앉혀 놓고 살 빼라고 힘든 운동을 시키질 않나, 화장 좀 고치라고 하질 않나 항상 잔소리다. 이때 그들의 대화가 압권이다. “화장 좀 고쳐.” “어차피 나가지도 않을 건데 왜요?” 이건 마치 엄마와 아빠의 대화를 그대로 뒤집어놓은 게 아닌가. 퇴근하고 집에 들어온 아빠에게 엄마가 세수 좀 하라고 잔소리를 할 때마다 아빠가 이렇게 말하기 때문이다. “내일 아침에 또 할 건데 왜?”


나지언의 싱글라이프
어쩌면 1시간 동안 애써 화장해 놓고도 남자들한테 “화장 안 했는데도 예쁘다”라는 말을 듣고 싶은 욕심 때문에 이러는지도 모른다. 너무 많이 아는 남자가 “그 마스카라 어디 거야? 오늘 화장 좀 떴다”라고 말할까봐 두려운 거다. 말로는 아니라고 해 놓고서는 사실은 나도 전통적 성 역할에 길들여져 있었던 것이다. 연애하는 여자들은 남자들에게 씻으라고 잔소리하고 싶어 한다. 여자들은 남자들이 자기보다 오래 씻으면 스트레스를 받는다. 남자들도 자신들의 영역이라고 생각한 곳에 여자들이 침범했을 때 이런 기분이었을까? 겁 많은 싱글 여자들은 아침마다 고민한다. 치마를 입을 것이냐, 바지를 입을 것이냐. 그리고 너무 많이 아는 남자를 만날 것이냐, 너무 모르는 남자를 만날 것이냐.

나지언 자유기고가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