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송기엽, 두뫼양귀비, 백두산.
|
[매거진 Esc] 노란 개나리와 분홍빛 벚꽃 물드는 4월에 야생화 사진에 도전하기
4월은 꽃피는 달이다. 산수유와 개나리에서 시작한 노란 행렬은 벚꽃으로 세상을 분홍빛으로 물들였다. 출사 여행의 인기 소재는 다름 아닌 꽃이다. 하지만 산수유와 벚꽃이 만발한 곳은 꽃보다 사람이 많다. 이럴 땐 야생화 출사로 눈을 돌려 보라. 꽃을 찍는 사진가들도 흔한 꽃에서 시작했다가 야생화 사진에 빠져든다. 평생 야생화를 찍어 온 송기엽(72) 사진가는 “내가 찾는 꽃을 발견할 때의 기쁨과 여린 생명체를 가만히 관찰하는 게 야생화 출사의 매력”이라고 말한다. 복수초가 겨울을 깨웠고 지금은 동강할미꽃, 얼레지, 현호색이 기다린다. 야생화 사진에 도전해 보자. 한두번 찍을 거라면 표준렌즈로 충분 ⊙ 특별한 장비 필요할까?=꼭 그렇지 않다. 한두 번 찍을 거라면 표준렌즈면 충분하다. 여기에 광각, 망원을 써도 좋다. 식물 군락의 전체적인 모습을 담을 경우 광각을 쓰고 접근하기 어려운 꽃은 망원으로 당겨 찍는다. 마크로 렌즈도 옵션이다. 야생화 동호회 야생화클럽의 윤도영(45) 총무는 “동호인 수준에서는 캐논 마크로 100㎜ 렌즈와 니콘 AF-S VR 마크로 105㎜ 렌즈를 많이 쓴다”고 말했다. 렌즈 가격은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danawa.com) 기준으로 각각 60만원(EF f2.8), 90만원(AF-S VR f2.8) 안팎. 기본 장비 외에 트라이포드와 앵글파인더가 필요하다. 숲 속에서는 광량이 부족하다. 이런 상황에선 느린 셔터속도를 선택할 수밖에 없어 흔들림에 취약하다. 트라이포드는 이때 긴요하다. 야생화는 키가 작기 때문에 최대한 낮출 수 있는 트라이포드를 선택한다.
![]() |
송기엽, 털복주머니란, 백두산.
|
![]() |
송기엽, 애기금매화, 백두산.
|
![]() |
윤도영, 변산바람꽃, 경기 풍도.
|
![]() |
민경화, 남방바람꽃, 전남.
|
![]() |
윤도영, 노루귀, 경기 풍도
|
![]() |
송기엽, 얼레지, 경기 포천.
|
![]() |
송기엽, 할머니꽃, 강원 영월.
|
![]() |
윤도영, 무릇, 충북 괴산.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