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4.23 23:21 수정 : 2008.04.23 23:39

뉴욕에서 열린 오토쇼에 전시된 베엠베의 클래식 오토바이와 세단. 제너럴 아이디어 제공.

[매거진 Esc]최범석의 시선 28

이번 뉴욕에서 건진 또 하나의 행사는 오토쇼였다. 여행에서 우연히 이런 큰 행사를 만나면 지금 아니면 다시 못 볼 것 같아서 귀찮아도 꼭 보러 간다. 이번에도 카메라를 들고 쇼를 보러 갔다. 그런데 이게 웬일. 입구에서부터 예감이 좋지 않았다.

입구에 놓인 전시물들은 유치해 보였고, 관객들도 부모와 손을 잡고 나오는 아이들이거나 처음으로 자기 차를 가지게 된 10대로 보이는 아이들이 대부분이었다. 전문성이 없는 그저 단순한 전시장이 아닐까 약간의 걱정을 하며 행사장에 들어서는 순간, 마음이 좀 놓였다. 전시된 차들보다 탁 트인 공간의 크기가 맘에 들었다. 특히 내가 좋아하는 높은 천장이 마음을 편하게 했다.

신차들을 압도한 베엠베와 벤츠 올드카

들어가서 처음 보이는 동선에 미국 자동차들이 전시돼 있었다. 사실 난 미국 차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미국 차들은 처음 보면 눈에 확 들어오는데 두 번 보면 역시 미국 차라는 생각이 들고, 세 번 보면 바로 디자인의 결점이 눈에 띈다. 선을 강하게 활용하고 육중하게 만들어 눈길을 사로잡지만 디테일은 둔탁하다. 디자인은 얼마나 많이 생각하고 만드느냐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많이 다시 보면서 결점을 보완하느냐에 따라 그 가치의 차이는 어마어마하게 달라진다. 비싼 명품일수록 세상에 내보내기 전에 결점을 많이 보완한다. 패션 역시 생산하기 전에 몇 번이나 더 샘플을 만들어 보느냐에 따라 제품이 시장에 나와서 펼치는 활약은 다르다. 예를 들어 패턴에 문제가 생겼을 때 그냥 수정을 해서 생산하는 사람도 있고, 수정된 것을 다시 샘플로 만들어 보는 사람도 있고, 그 샘플을 확인하고 거기다 더 나은 디자인을 보태는 사람도 있다. 구매자들이 보기에는 미세한 차이라고 해도 패턴과 디테일, 원단까지 무엇 하나, 이 정도면 될 것 같다는 생각으로 만들다가는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시장에서 디자인만큼이나 중요해지는 것이 마케팅이다. 그런 면에서 미국 차들은 성능이나 디자인보다 마케팅이 강해 보인다. 디자인 관점에서 보면 모든 생산회사들이 약속이라도 한 것처럼 보닛을 높이 올리고 그릴을 크롬으로 만들어 더 강해 보이고 고급스레 보이려고 노력한 것들이 비슷비슷해 오히려 지루하기만 했다. 그런데 나의 눈을 가장 크게 사로잡았던 것은 화려하고 새 기술을 추구하는 쇼의 전체적 방향과 반대되는 베엠베(BMW) 전시장이었다. 베엠베는 신차들 사이에 1900년대 중반에 나왔던 오래된 차를 전시해 놨다. 그 차들이 오히려 이 회사의 기술을 더 강하고 믿음직스럽게 보이도록 하는 데 일조했다. 이 오래되고 튼튼하며 근사한 차들을 만들었던 역사가 미래의 멋진 디자인과 좋은 성능의 차를 선보인다는 무언의 마케팅처럼 보였다. 메르세데스 벤츠 역시 올드카를 한쪽 구석에 전시했는데, 많은 관람객들의 시선을 모으지는 않았지만 나는 신차보다 그 올드카들에 넋을 잃고 빠졌다. 오랜 세월 디자인의 콘셉트와 회사의 방향을 저버리지 않고 계속 가고 있는 회사라는 자신감이 느껴져 더 믿음직스러웠다.

최범석의 시선 28
요즘처럼 새로운 마케팅과 새로운 디자인이 넘쳐나는 시대에 그런 전통의 마케팅은 아주 훌륭한 것 같다.


세계 몇 위라는 자랑보다 더 근사한 것

많은 올드카나 악기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가치가 더해지는 것처럼 한국 제품 사이에서도 더 새로운 것, 더 첨단인 것에만 몰두하기보다는 후손들에게 동경받을 만한, 오랫동안 소장할 만한 브랜드가 탄생한다면 세계 몇 위라는 자랑보다 더 근사할 것 같다. 나 역시 사람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것 못지않게 오랫동안 소장하고 싶어 하는 옷, 시간이 지나도 잊혀지지 않는 디자인을 만들고 싶다.

최범석 패션 디자이너·제너럴 아이디어 대표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