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5.22 13:50 수정 : 2008.05.22 13:50

하품하는 모습이지만, 내겐 스밀라가 호탕한 웃음을 웃는 것처럼 보인다.

[매거진 Esc] 고경원의 애니멀 퍼스트

고양이의 신체 부위 중에서 가장 예쁜 곳을 한 군데만 꼽으라면 눈동자라고 말하겠지만, 가장 사랑스러운 곳을 꼽으라면 역시 입술이 제일이다. 만화 캐릭터처럼 선명한 ㅅ자를 그린 입술을 보노라면, 귀여워서 꺅꺅 소리를 지르고 만다. 살짝 입 꼬리를 올린 채 잠든 고양이의 ㅅ자 입술은 웃는 얼굴과 어쩜 그리도 닮았는지!

틈틈이 찍은 고양이 사진을 갈무리하다 보면, 나도 모르게 비실비실 웃게 된다. 변화무쌍한 고양이의 표정이 사랑스럽기 짝이 없어서다. 어찌 보면 단호해 보이고, 어떨 때는 심통이 난 것 같고, 때로는 새침해 보이기까지 하는 그 표정들. 고양이가 뭔가를 집중해서 바라볼 때면, 망설이듯 입술을 살짝 벌린 모습이 금세라도 내게 말을 건넬 것만 같다. 하품할 때 한껏 입을 벌린 모습을 보면, 실제로는 웃는 게 아니란 걸 알면서도 꼭 파안대소를 하는 것처럼 보여서 그만 따라 웃게 된다. ‘어쩜 저렇게 시원시원하게 입을 벌리고 웃는 표정을 지을까?’ 하고 생각하면서. 스밀라의 호탕한 표정을 보면서 나도 저렇게 웃어본 적이 있었나 생각하니, 소리 내어 웃어본 것이 언제인지 가물가물하기만 하다.

이렇게 쓰고 보니 “웃는 표정은 사람만 지을 수 있다던데?” 하고 지적할 사람도 있음 직하다. 한데 고양이와 함께 살아보면 그 말에는 선뜻 동의하기가 어렵다. 감정을 감추지 않고 솔직히 드러내는 고양이 입술에는 인간 못지않은 다채로운 표정이 담겨 있다고 믿는다. 물론 과학의 힘으로는 그들의 표정을 식별하기 어렵겠지만, 함께 뒹굴며 살아온 세월의 힘을 빌리면 고양이 표정을 읽는 것쯤은 어렵지 않게 되니까.


고경원의 애니멀 퍼스트
스밀라의 웃는 얼굴에는 작은 결함이 있다. 고양이에게 발톱 다음으로 중요한 무기인 송곳니 하나가 없기 때문이다. 입양되기 전에 험한 거리 생활을 하다가 부러졌는지, 혹은 어딘가에서 빠졌는지 모르지만, 다시 자랄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 고양이를 상품으로 취급하는 동물가게에서라면 스밀라는 ‘하자 있는 고양이’로 분류되어 천덕꾸러기가 됐겠지만, 내겐 그런 모습도 특별해 보인다. 그 결함이, 스밀라의 웃음을 특별하게 기억하게 할 지표가 될 테니까. 고양이가 곁에 없을 때, 내게 힘을 주는 고양이 웃음이 그리울 때면 (^ㅅ^) 이렇게 생긴 고양이 이모티콘을 그려 본다. 그럼 이모티콘 속에서 고양이 웃음의 활기찬 기운이 전해지는 것 같다. 오늘 하루도 기운내서 씨익 웃어보자고.

고경원 길고양이 블로거 catstory.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