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
|
[매거진 Esc] 이다혜의 한 줄로 한 권 읽기
“독서는 우선 비(非)독서라 할 수 있다.”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
피에르 바야르 지음, 김병욱 옮김, 여름언덕 펴냄 초등학교 6학년 때 세계명작 전집의 작가 이름과 책 제목, 책 줄거리를 외우는 아이가 있었다. 이유를 물으니 “이것만 외우면 읽은 거나 진배없다”는 어머니의 당부가 있었다고. 미치겠는 건, 그 아이가 그 책을 정말 읽었는지 안 읽었는지 구분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사실이었다.(선생님조차!) 그로부터 20년이 넘게 지난 지금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정작 책을 읽은 나는 잘 기억이 안 나 버벅거리는데, 일간지나 블로그의 책 리뷰를 읽은 상대는 유창하게 책의 의미와 장단점을 늘어놓는다.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을 쓴 피에르 바야르는 현재 파리 8대학 프랑스문학 교수이고 정신분석학자다. 책에 대해서라면 누구보다 많은 말을 하는 교수라는 직업을 가진 그는 ‘비(非)독서’를 권한다. 책을 선택하는 행위는 그 책 대신 선택될 수 있었던 다른 책을 덮어버리는 행위가 되기 때문에 읽음은 읽지 않음에서 비롯함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가 생각하는 비(非)독서의 범주는 의외로 넓다. 책을 전혀 읽지 않은 경우부터 책을 대충 훑어보는 경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책 얘기를 귀동냥한 경우, 책의 내용을 잊어버린 경우가 모두 비독서라는 말로 수렴된다. 그럼에도 책을 읽지 않고 적당히 아는 척하며 사람들과 사교성 대화를 이어가는 비결이 있다면? 피에르 바야르는 자기 자신을 비롯해 여러 소설가, 소설 속 주인공의 예를 들며 ‘읽지 않는 책에 대해 말하는 법’을 알려준다.
![]() |
이다혜의 한 줄로 한 권 읽기
|
이다혜 좌충우돌 독서가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