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7.02 21:34 수정 : 2008.07.02 21:34

이른 아침의 축령산 숲. 해뜰 무렵 피톤치드가 가장 많이 발산된다. 피톤치드 목욕을 하기 좋은 때다.

[매거진 Esc] 이병학의 걷고 싶은 숲길
거대한 피톤치드 목욕탕, 국내 최대의 난대수종 조림지 축령산 편백나무·삼나무 숲

키다리 나무들이 빽빽하게 솟았다. 수십 미터씩 곧게 뻗은 편백나무·삼나무·낙엽송 들이다. 서로 기대고 어깨 겯고 우거져, 깊고도 진한 피톤치드 숲을 이룬다. 걸으면 솔향이 몸을 감싸고, 멈추면 흙내음이 마음속 깊이 스며든다. 걷고 또 걷게 하는 것은 새와 바람소리, 앉고 또 누워 흠뻑 젖게 하는 건 시시때때 새로워지는 숲의 빛깔이다.

탐방객들은 이 숲에 들어와 피톤치드 목욕을 하고 나간다. 거닐고 뒹굴면서 숲을 보는 한편, 나무도 본다. 깊은 숨 쉬며 숲을 배우고 나무를 익힌다. 입장료도 없고 안내소도 없다. 숲 안엔 통나무집도 민가도 없다. 있는 것은 숲길과 팻말이다. 그리고 탐방객들이 말 걸어 오기를 기다리는 숲 해설가다.

조림왕 춘원 임종국 선생 외에도 마을 주민들이 숲을 가꿨다. 축령산 자락 문암리 금곡마을.
‘조림왕’ 임종국이 21년에 걸쳐 일궈

들어서면 누구나 한없이 걷고 싶어질 이 숲길은 전남 장성군 축령산(문수산·621m) 자락에 있다. 개인의 힘으로 일군 국내 최대의 난대수종 조림 성공지다. ‘조림왕’ 춘원 임종국(1915~87) 선생이 그 주인공이다.

임 선생은 1956년부터 76년까지 사재를 털어 묘목을 생산하고 온힘을 다해 심고 물 주고 가꿨다. 축령산 자락 북일면 문암리, 서삼면 모암·대덕리 일대 596㏊에 편백나무·삼나무·낙엽송 등을 21년에 걸쳐 심고 보살폈다.

나무 심기엔 주변 마을 주민들도 힘을 보탰다. 문암리 금곡마을의 김정대(74) 할머니가 말했다. “나가 시악시 때부터 심갔어. 날마둥 산질(산길)로 걸어올라가 심갔제. 그땐 질도 쫍아서 요만뿐이 안혔어. 남자들은 인자 괭이루 구뎅이 파고 여자들은 심구고 요로코롬 발로 볼바줬제.”


가물 때면 임 선생과 그의 가족, 그리고 주민들이 달려들어 물지게를 지고 물을 퍼날라 나무를 살려냈다고 한다. 그의 성공적 조림은 전국에 파급 효과를 일으키며 나무 심기의 중요성과 숲의 가치를 재인식시키는 구실을 했다. 그러나 말년에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면서 숲과 산은 타인 명의로 넘어갔고, 벌목 계획 등으로 황폐화될 위기에 놓였다가 2002년 정부에서 258㏊(편백나무 153㏊, 삼나무 37㏊, 낙엽송 50㏊ 등)를 사들여 국유림으로 관리하고 있다.

선견지명을 가진 한 사람의 열정이 국내 최고의 조림 생태숲을 후손에 안겨줬다. 쌍쌍이 거닐면 그대로 한 폭의 그림이 되는 숲길이자, 아이들이 돌아다니며 만지고 냄새맡고 재잘대면 그대로 자연 공부 교실이 되는 숲이다. 나무에 기대앉아 생각하고 책 읽고 조는 동안 스트레스·우울증·아토피가 완화되고 치유되는 자연 치료시설이기도 하다.

피톤치드는 나무가 자기방어를 위해 내뿜는 물질로 강한 살균력을 지녔다. 사람의 심폐기능을 좋게 하고 아토피 등 피부질환이나 스트레스 해소에도 효과도 있다고 한다. 소나무·편백나무·삼나무·주목·구상나무 등이 피톤치드를 많이 내뿜는 수종으로 꼽힌다.

산림청 소속 축령산 숲 해설가 류광수(40)씨가 말했다. “피톤치드는 해뜰 무렵과 낮 10~12시 사이에 가장 많이 발산됩니다. 새와 곤충들이 활동하는 시간과 비슷하죠.” 이 숲에는 류씨와 김현태(60)씨 등 2명의 숲 해설가와 한 명의 등산 안내인이 상주하며 탐방객들을 맞이하고 숲을 관리하는 일을 한다.

숲길을 걸으며 나무를 관찰하자. 삼나무 솔방울.
해충 제거 위한 방제작업은 전혀 안해

광주에서 왔다는 50대 부부는 “이 좋은 숲을 옆 동네에 두고 다른 지역 산길을 돌아다녔다”며 “알고는 있었지만, 이렇게 멋진 곳인 줄 몰랐다”고 말했다.

아토피 때문에 일부러 휴가를 내 이곳을 찾았다는 김아무개(30·용인)씨도 말했다. “사흘째 숲 안에서 책을 읽으며 지내는데 증상이 많이 완화됐어요. 잠도 잘 오고 정말 편안해졌습니다. 자연 치유의 위력을 이제 알 것 같습니다.”

이 숲에선 해충 제거를 위한 약치기 등 방제작업은 일체 하지 않는다. 숲 해설가 김현태씨가 말했다. “숲에 손 대는 일이라곤 간벌작업과 가지치기 말고는 없습니다.”

숲 안에는 널찍한 임도가 곳곳으로 뻗어 있다. 큰길을 버리고 어두컴컴한 오솔길로 들면 더욱 진한 숲향기를 온몸으로 느낀다. 한두 시간이면 완만한 산길을 따라 걸으며 숲을 어느 정도 둘러본다. 하지만 탐방객들은 숲속에 돗자리를 펴고 앉거나 누워 오랫동안 숲을 즐긴다.

류광수씨가 산불감시초소 부근 길 옆에 마련된 ‘샘터’에서 골짜기 물을 바가지로 받아 마시며 말했다. “여기엔 ‘3D’만 가져오시면 됩니다. 도시락·도서·돗자리 말입니다.”

단체로 예약하면 숲 해설가들이 진행하는 나무·풀꽃 이름 알아맞히기, 숲이 주는 혜택 알아보기 등 숲 공부에 참가할 수 있다. 숲길을 올라 산 능선을 타고 오르는 정상 등산도 가능하다. 등산 안내인이 길안내를 해준다.

안타까운 건 이 숲길로 차량이 제한없이 드나든다는 점이다. 숲으로 차를 몰고 들어오는 동안 “이 아름다운 숲길로 차를 몰아도 되나” 하는 마음이 절로 인다. 그러나 산밑 마을 어디에도 숲 탐방객을 위한 주차장은 없다. 차를 댈 만한 자리를 찾았을 땐 이미 숲 안으로 깊숙이 들어온 뒤다.

류광수씨가 말했다. “문암리와 모정리, 추암리 등 세 곳의 숲길 들머리에 각각 주차장을 만들어야 합니다. 흙길에 자갈을 까는 것도 줄이고 걷기만 하는 산길을 유지하는 게 상책이죠.”

이 멋진 숲을 만끽한 뒤 탐방객들은 임종국이라는 인물을 다시 한번 새겨보지 않을 수 없다.

숲 한가운데 임종국이 숲을 가꾸며 머물던 움막 터와 우물 등이 남아 있다. 숲 안에는 그의 공적비와 수목장 느티나무도 있다. 87년 타계 뒤 순천 선영에 묻혔다가 2005년 축령산 숲 헬기장 옆에 13년생 느티나무를 심고 수목장을 지냈다.

이병학의 걷고 싶은 숲길
영화 <태백산백> 찍은 마을도 둘러볼 만

임종국 선생 국가유공자 지정 청원에 앞장서고 있는 전 장성군청 공무원 변동해(54)씨가 말했다.

“3만명 서명을 받아서 재작년말 유공자 청원을 했는디 여태 소식이 없어부러야. 우리나라에 사회 발전 부문 유공자가 하나도 없다는 건 말하자면 국민적 수치랑게. 임 선생이야말로 그 적임자 아니것소잉.” 변씨는 7년 전 축령산 자락에, 누구나 와서 묵으며 쉬다 갈 수 있는 산장 ‘세심원’을 열어 유명해진 인물이다. 2년 전엔 금곡마을에 아담한 미술관도 열었다.

숲길을 즐긴 뒤 문암리의 금곡마을을 찾아볼 만하다. ‘태백산맥’ ‘내마음의 풍금’ ‘만남의 광장’ 등 영화와 드라마를 찍은 마을이다. 초갓집과 마을길, 다락논 들이 60년대 옛 마을 분위기를 풍긴다.

도시락·도서·돗자리 등 ‘축령산 숲 3D’를 가져온 탐방객들은 천천히 숲을 즐긴다.

축령산 여행쪽지

장성읍서 한시간마다 버스

◎ 가는 길= 호남고속도로 장성 나들목에서 나가 굴다리 밑에서 좌회전, 곧 24번 국도 만나 피(P)턴으로 좌회전(함평쪽), 제2황룡교 건너 장산 네거리서 우회전, 필암서원 입구 지나 삼거리에서 추암 쪽으로 우회전, 3㎞쯤 가다 추암 입구 삼거리서 저수지쪽 왼쪽길 타고 오르면 괴정마을 거쳐 숲길이 시작된다. 자갈길과 시멘트길을 번갈아 타고 숲길을 오르면 임종국 조림 공적비 앞에 차를 세울 만한 자리가 있다. 백양사 나들목에서 나가도 된다. 나가자마자 우회전해 굴다리 지나자마자 장성 쪽으로 우회전해 734번 지방도를 타고 직진한다. 신흥리 박산마을 사거리에서 708번 지방도로 우회전(고창·국립수사연구소 쪽), 직진해 북일주유소 지나 금곡마을 팻말 삼거리에서 좌회전한다. 마을길 위로 올라가면 축령산 숲으로 오르는 비포장길이 이어진다. 서해안 고속도로 이용 땐 고창 나들목에서 나간다. 고창읍내 거쳐 백양사 쪽으로 양고살고개를 올라가다 그랜드모텔 앞에서 장성 쪽으로 우회전, 솔재 넘어 금곡마을 들머리 팻말 삼거리에서 우회전한다.

장성읍 버스터미널에서 아침 6시40분부터 저녁 6시20분까지 1시간에 한대씩 금곡마을행 버스가 있다. 30분 가량 소요. 금곡마을이 종점이다. 요금 1650원. 장성역과 버스터미널은 5분 거리에 있다.

◎ 연락처= 서부지방산림청 영암국유림관리소 (061)471-2183.

◎ 묵을곳= 문암리 금곡마을 위 들독골에 산장 ‘세심원’이 있다. 두세 칸의 방과 이부자리, 취사도구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고기굽기·음주는 원칙적으로 금지. 금곡마을에 산이네민박(061-393-4290)·테마민박(061-393-4838)이 있다. 5만원. 한끼 5천원. 모암 쪽에는 통나무집(061-393-9605)이 있다. 6만원. 추암리에 추암골산장·관광농원 등 민박집이 있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