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철중: 공공의 적 1-1〉(2008)
|
[매거진 esc] 김은형의 웃기는 영화
코미디 영화를 보면서 웃는 건 쉽지만 코미디 영화를 잘 만들기는 어렵다. ‘그까이꺼 대충 멍청한 조폭 캐릭터 몇 개 끼워 넣으면 되는 거 아냐’라고 반문하실 분께 말씀드리자면 한국 코미디 영화사에 한 획을 그었던 조폭 코미디가 그러다가 순식간에 망했다. 가녀린 여성이 떡대에게 “눈, 깔어”라고 했을 때는 그 극단적 자리바꿈에 재미를 느꼈지만, 찌질이 넘버3가 “오렌지가 영어로 뭔 줄 아냐”고 물어보는 지경이 되면 “델몬트잖아, 집어치워”라고 스크린을 향해 소리 지르고 싶어지는 거다. 코미디가 까다로운 이유는 균형 잡기의 난이도가 높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여교수의 은밀한 매력>처럼 한 발짝만 더 나가면 “저건 뭥미?”라는 싸늘한 반응을 얻게 되고, <상사부일체>나 <조폭 마누라 3>처럼 옛날 방식을 그대로 리와인드했다가는 “이건 웬 쌍팔년도?”라는 짜증만 버럭 유발한다. 까딱했다가는 4차원 되고, 삐끗했다가는 촌티 만발하는 꼴이다. 1편에 비해 아쉽다는 평이 많아서인지 큰 기대를 안 하고 <강철중: 공공의 적 1-1>을 보러 갔다. 기대치 때문이었는지 어땠는지는 모르겠지만 재밌게 봤다. 내가 재밌게 본 이유는 스토리나 캐릭터가 아니라 이 영화가 주는 웃음 때문이었다. 사실 <강철중>이 주는 웃음은 새롭지 않다. 예측 가능한 인물들이 예측 가능한 상황에서 웃겨 준다. 그렇다고 식상하지도 않다. 물론 이건 순전히 개인적인 판단이기 때문에 식상하다고 면박 줄 웃음의 강자들도 있겠지만, 내 생각에 <강철중>에서 얻는 즐거움은 딱 ‘안전한’ 웃음이다. 웃기는 걸 좋아하고 웃기는 것에 집착하는 사람들이 전위적인 농담이나 극단적인 유머를 보면서 ‘음, 그러니까 저 정도까지는 웃으면서 참아줘야 하는 거지?’라고 끊임없이 자기를 벼르는 노력을 하지 않으면서도 ‘진짜 손발이 오그라드는구나’라는 걸 참아야 하는 지경에까지 이르지는 않도록 알아서 조율해 주는 웃음 말이다. 영화의 완성도나 성취도를 떠나 강우석 감독은 가장 보편적인 웃음의 공감대를 수렴할 줄 아는 사람인 것 같다. 이 영화의 유머를 안전함과 식상함의 경계선에서 구원한 것은 감독의 공력 못잖은 배우들의 기량에서 나온다. 주인공 설경구야 주인공이니 건너뛰고, 이를테면 이문식. 1-1에서 이문식은 벤츠를 타고 다니는 사장님이 됐지만 여전히 강철중만 보면 움찔하는 소심한 불량아이고, 칼 쓰는 솜씨로 맘 잡고 정육점 주인이 된 유해진은 여전히 촐싹댄다. 그리고 정재영.
|
김은형의 웃기는 영화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