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디자이너 지에프엑스(GFX), 부창조, 강박사, 일러스트레이터 천소가 작업한 윕.
|
[매거진 esc]
작가에 따라 디자인 바뀌는 국내 최초 플랫폼 토이 ‘윕’을 위한 협업 프로젝트 실험 중 여기 정체불명의 장난감이 있다. 뽀얀 피부를 가진 어린아이 같기도 하고, 뒤쪽에 스위치를 숨긴 책상 스탠드 같기도 하고, 영화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가이드>에 등장하는 우울증 걸린 로봇 마빈의 친구쯤 되는 로봇 같기도 하다. 사람인지 물건인지 로봇인지 쉽게 가늠할 수 없는 이 장난감은 국내 최초의 플랫폼 토이 ‘윕’(ouip)이다. 둥근 머리는 360도 돌아간답니다 윕을 얘기하기 전에 먼저 플랫폼 토이에 대해 짚고 넘어가자. 플랫폼 토이란 기본적인 형태는 그대로인데 참여하는 디자이너나 작가에 따라 디자인이 바뀌는 장난감을 말한다. 우리에게 친숙한 플랫폼 토이로는 세계적인 인기를 한 몸에 받아온 일본 ‘메디콤’의 베어브릭과 큐브릭, 다양한 형태의 플랫폼을 가진 홍콩 ‘토이투알’의 퀴, 플랫폼 토이의 대중화를 선도하는 미국 ‘키드로봇’의 더니 등이 있다. 최고의 예술가와 디자이너가 참여해 매번 새로운 디자인을 만들어내는 베어브릭과 퀴, 더니는 장난감과 예술이 만났다는 의미에서 아트 토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윕은 국내에서 처음 제작된 ‘메이드 인 코리아’ 플랫폼 토이다. 윕을 만든 이들은 ‘델리토이즈’의 이재혁씨와 조영민씨다. 일러스트레이터와 그래픽 디자이너로 일하며 수년간 수천 점의 장난감을 수집해 온 이 둘은 지난해 손을 잡고 플랫폼 토이를 만들기로 했다. “플랫폼 토이와 피규어 등 장난감을 모으면서 우리에게도 국내 작가들의 작품이 담긴 플랫폼 토이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예술가와의 협업을 통해 만들어낸 플랫폼 토이는 단순한 장난감이 아니라 하나의 작품에 가깝거든요.”
|
(위)직접 디자인을 할 수 있는 디아이와이(DIY) 형태로 출시된 윕.
(아래)‘윕 러브스 아티스트’ 전시가 열리는 서울 종로구 가회동 델리토이즈 갤러리 모습. |
윕의 가장 큰 특징은 둥근 머리가 360도 돌아간다는 점이다. 다른 플랫폼 토이보다 캔버스가 더 넓은 셈이다. 머리가 돌아가는 대신 다리는 움직이지 않는다. 전구의 둥근 디자인을 살리다 보니 골반을 만들 수가 없어 움직이는 다리는 포기했다. 물론 팔은 움직인다. 산통 끝에 윕은 지난 5월 세상에 나왔다. 아무것도 그려져 있지 않은, ‘두 윕 유어셀프’(Do Ouip Yourself)라는 문구가 상자에 쓰여진 디아이와이(DIY) 형태의 윕은 처음에 150개를 한정으로 제작했고, 추가로 500개를 더 제작해 현재 판매 중이다. DIY 형태…처음엔 150개만 한정 제작
|
윕을 든 델리토이즈 이재혁 실장.
|
|
대표적인 플랫폼 토이인 일본 메디콤의 베어브릭(왼쪽)과 홍콩 토이투알의 퀴.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