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8.13 17:53 수정 : 2008.08.14 23:35

펑클 오디션장 난동사건

[매거진 esc] 커버스토리
<씨네21>과 함께하는 불량추억 공모전 수상작 1등 이진

반항하고 싶고, 탈출하고 싶고, 떠나고 싶었던 학창시절, 독자 여러분은 어떤 ‘불량 추억’을 가지고 계십니까. 〈esc〉가 <씨네21>과 함께 펼친 ‘불량추억 공모전’에 모인 유쾌하고 가슴 찡한 사연들을 소개합니다. 누구든지 한번쯤 비슷한 경험을 해봤을 사건과 사고들, 감히 엄두는 못 냈지만 한번 저질러 보고 싶었던 불량 추억 속으로 늦여름 짧은 피서를 떠나보세요.

내가 중고등학교 시절을 보낸 90년대는 아이돌 춘추전국 시대였다. 서태지와 아이들로 막을 연 아이돌 시대는 에이치오티(HOT)에서 절정을 이루었고 전교생이 에이치오티 팬과 젝스키스 팬으로 양분되어 점심시간마다 우리 오빠가 더 멋지다고 혈전을 벌였다.

집어던진 의자가 심사위원석으로

나로 말할 것 같으면 오빠들을 응원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스스로 스타가 되기를 꿈꾸는 연예인 지망생이었다. 내가 다니던 여고는 4인조 인기 여가수 그룹의 멤버를 비롯하여 유명 스타를 여럿 배출한 연예인 학교로 일대에 유명했고, 나 말고도 연예인을 꿈꾸는 친구들이 꽤 있었다. 나는 그 친구들과 함께 당대의 최고 여성 그룹 핑클의 뒤를 잇는 ‘펑클’을 만들어 매일 밤 집에 모여서 비디오테이프를 틀어놓고 춤 연습을 했다. 실력은 어땠을지 몰라도 우리의 몸가짐만은 이미 대스타였다. 과산화수소수로 앞머리를 탈색해 성유리 스타일 브릿지를 넣고 매일 아침 눈썹을 꼼꼼하게 밀었다. 복장검사 날마다 학생주임 선생님에게 얻어터지면서도 미래의 스타인 우리는 자기관리의 끈을 늦추지 않았다.

주말마다 한껏 꾸미고서 무리지어 명동을 배회하던 우리들에게 어느 날 이른바 길거리 캐스팅 제의가 들어왔다. 나이트 삐끼가 떠오르는 행색의 양복쟁이 남자의 말인즉슨, 핑클과 에스이에스(SES)를 능가하는 초대형 그룹의 멤버를 모집한다는 것이다. 포스트 핑클, 제2의 에스이에스라니! 어찌 넘어가지 않을 수 있겠는가. 남자는 오디션을 보기 위해서는 등록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등록비는 무려 일인당 십이만 원. 다섯 명이 함께 오면 특별히 20% 할인해서 오십 만원에 해 주겠다고. 무슨 오디션을 보는 데 그 큰돈을 내야 하나? 그러나 의문은 화려한 스타의 꿈 앞에서 희미해졌고 우리는 다 함께 “네!” 를 외쳤다.

꿈을 이루려면 돈이 필요했다. 다음 날부터 우리는 교실을 돌며 마음 약한 아이들을 상대로 모금(?)을 시작했다. 곧 갚겠다고 철석같이 약속했지만 물론 기약 없는 약속이었다. 모자란 돈은 부모님에게 학원비 명목으로 받아냈다. 대망의 오디션날이 가까워져 왔다. 우리는 조금이라도 날씬해 보이기 위해 일주일 전부터 저녁을 굶는 가혹한 다이어트를 했다. 주린 배를 움켜쥐고 당도한 오디션장에는 우리와 비슷한 행색의 다른 학교 아이들이 있었다. 그중에서 제일 마르고 예쁘장하게 생긴, 은갈치 지느러미 같은 헤어스타일을 한 여자애가 자기 친구의 팔을 꼬집으며 들으라는 듯이 소곤거렸다.


“쟤 좀 봐. 무슨 깡으로 나왔대? 얼굴 견적만 삼천 나오겠다.”

뭣이라? 평소 실눈이 콤플렉스라 매일 쌍커풀 스티커를 붙이고 다니던 내 친구의 얼굴이 새파랗게 굳어졌다. 곧바로 둘은 머리채를 부여잡고 싸우기 시작했다. 친구의 적은 곧 나의 적. 후방 지원에 나선 내가 온 힘을 다해 집어던진 의자가 심사위원들이 앉은 테이블 한가운데로 날아갔다. 기겁을 한 심사위원들이 뛰쳐나와 뜯어말렸지만 이미 싸움은 일파만파로 번져 오디션은 난장판이 되었다. 얼마 후, 은갈치 머리가 쑥대머리로 변한 여자애의 서럽게 울어대는 소리가 울려 퍼지는 가운데 나는 춤을 추었고, 심사위원들은 뭐 씹은 얼굴로 예정보다 삼십 분이나 일찍 오디션을 끝내 버렸다. 덕분에 뒤쪽 순서의 아이들은 오디션에 참여하지도 못했다.

집에 돌아오자마자 학원에 전화를 걸어 진상을 알아낸 엄마가 몽둥이를 들고 달려들었고 다음 날 학교에서는 모금에 협조한(?) 아이들의 어머니들이 씩씩대며 기다리고 있었다. 나와 펑클 멤버들은 하루 종일 조리돌림을 당했고 우리는 개교 이래 전대미문의 악질 불량서클 집단으로 찍혀 여름방학 내내 복지회관에서 치매노인 돕기 봉사활동을 해야 했다.

참, 오디션의 결과? 아무런 연락도 없었다. 우리 패밀리 멤버들 중 아무도 합격하지 못했다. 아마 그날 오디션을 본 아이들 중 합격자는 아무도 없었을 것이다. 그 후로도 우리는 남은 학교생활을 ‘여자 깡패’ 주홍글씨가 찍힌 채 힘겹게 보내야 했지만, 후회는 없었다. 다만 두 번 다시 연예인 오디션에 참여하는 일은 없었다.

‘적’들의 눈물 속에 댄스 댄스 댄스

십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해가 바뀔 때면 그때의 패밀리 멤버들을 만난다. 나와 함께 스타를 꿈꾸던 친구들 중에서는 연예계 끝자락에서 일하는 친구도 있고, 평범한 주부가 되어 아기를 키우는 친구도 있다. 내일모레 서른을 앞둔 여자들끼리 한잔 하고 실컷 수다를 떨고 나면, 약속한 듯이 다 함께 노래방으로 향해 핑클과 에스이에스의 노래를 신청해 파트별로 열창한다. 노래를 하다 보면 나도 모르게 그 시절 맹렬히 연습했던 춤사위가 저절로 튀어나온다. 십 년도 넘게 지난 지금까지 몸이 춤을 기억하는 것을 보면 그 주책스러움에 우습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하다.

지금 생각하면 헛웃음 나오는 짓에만 목숨을 걸던 골칫덩이들이었지만, 무엇이든 할 수 있을 것만 같은 에너지로 가득 찬 시절이었다. 얻어맞고 혼쭐이 날수록 더욱 열중했던 시절. 나이를 먹을수록 무게를 더해가는 현실 앞에서 가슴이 답답해질 때마다 그 시절을 떠올린다. 그 시절의 열정을 잃어버리지 않는다면 나를 잡아먹을 듯 덤비는 현실 앞에 무작정 고개를 숙이는 대신 주저 없이 한 방을 날릴 수 있으리라.

이진/서울시 서초구 방배2동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ESC : 커버스토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