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난 수피아 칠공주의‘가방모찌’였다
|
[매거진 esc] 커버스토리
<씨네21>과 함께하는 불량추억 공모전 수상작 2등 공선옥
“야, 사대부고!” 척 보자마자 반말이다. “너, 어디 가고 잡지? 우리 따라 벌교 갈래?” 마침 그 다음날이 일요일이었다. 나는 아무 생각 없이 고개를 끄덕였다. “나 차비도 없는디.” “차비는 우리가 낼 텡게 너는 우리 가방이나 맡아도라.” 나는 네다섯 명이나 되는 수피아 여고 일행의 가방을 도맡아 그애들을 따라 벌교행 기차를 탔다. 뜬금없는 여행이었다. 그렇게 기차를 타고 난생처음 벌교를 갔다. 벌교에 갔더니 왠지 껄렁껄렁해 뵈는 남학생 한 패가 다가왔다. 모자는 하나같이 쓰지 않았거나, 삐뚜름이 쓰고 바지는 배꼽바지에 가방은 손에 들지 않고 옆구리에 꿰찼다. 그애들도 학교에서 바로 벌교로 온 모양이다. 교복을 보니 바로 조(선)대부고생들이다. 아, 말로만 듣던 수피아와 조대부고의 껄렁패들이 오늘 벌교에 다 모였는갑다. 나는 그제야, 그들의 정체를 조금 눈치채고 있었다. 광주에서 온 가시내들과 머시매들은 곧 한패가 되어 벌교 읍내를 가로질러 한창 서커스 공연을 하고 있는 가설극장 앞에서 멈추었다. 벌교의 여름밤은 그야말로 후끈 달아올라 있었다. 그때 유명하기로 치자면 수피아- 조대부고 패에 비교가 안 되는 벌교패들이 쓰윽 앞을 막아섰다. “어디서 온 조무래기들이냐?” 삐뚜름한 모자가 척 앞으로 나갔다. “광주서 왔는디?” “앗따 겁나게 큰물에서 와부렀다잉.” “벌교보담은 쪼깨 크제.” “그려, 그타치고, 벌교는 뭔 일이여?” “여그서 굿헌다는 소식이 광주까정 들리더라고.” “벌교굿이 광주굿만 허겄어? 보다시피 여그는 벨로 먹잘 것이 없어. 그렁게 기양 조용히 션헌 물이나 한 바가지씩 처묵고 싸게 꺼지더라고잉.” “우리한테 물멕일라고 그러요 시방?” “하먼.” 우세스러워 차마 쓸 수 없는 이야기 그리고 그 다음에 벌어진 사태를, 그해 여름 벌교에서 일어난 일을, 나는 여기에 쓸 수도 없을뿐더러 우세스러워 어디다 대고 말도 못 할 일이다. 하여간 이차저차 이러구러 해서 광주패, 벌교패들 전부는 벌교경찰서 신세를 지게 되었다. 한참 동안 머시매들을 조사하던 경찰이 여고생들을 향해 물었다. “어이, 근디 요 가시내들은 다 뭐라요?” 건너편 경찰이 답했다. “수피아 칠공주랑만.” “수피아 칠공주는 옷이 똑같애서 알겄는디, 어이 거그 가방 보듬고 있는 너는 뭣이냐?” 수피아 칠공주 중의 누군가가 킥킥 웃으며 대답했다. “우리 가방모찌야라우.” 아, 나는 그해 여름 벌교에서 수피아 칠공주의 ‘가방모찌’였던 것이었던 것이다. 그해 여름의 벌교사건 이후로 나는 아무리 답답해도 아무리 슬퍼도 역에 가서 답답함을 달래지는 않는다. 슬픔이 몰려와도 화장실에 가서 달랬으면 달랬지 역이나 터미널 같은 데로는 가지 않는다. 공선옥/강원 춘천시 칠전동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