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타 디자이너 페터 슈라이어의 이름값을 한 쏘울의 개성적인 디자인.
|
[매거진 esc] 자동차 전문가 2인의 메신저 토크
거리에서 빛 발하는 화끈한 내외관…20대에게 강추, 40대는 글쎄
새롭게 출시된 기아자동차의 크로스오버차(CUV) 쏘울이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앞세운 쏘울은 기아차의 미래를 예견할까요? <모터 트렌드> 이경섭 편집장(대화명 이 기사)과 <비비시 톱기어> 김우성 편집장(대화명 김 기사)이 인터넷 메신저를 띄워놓고 쏘울의 디자인과 봉고 정신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김 기사: 쏘울을 통해서 현대와의 차별화를 시도하는 기아의 노력이 보여요. 쏘울도 그렇고 쏘울 이전에 나온 포르테도 디자인을 강조하고 있어요. 그리고 무엇보다도 삼고초려 끝에 자동차 디자인의 거장인 페터 슈라이어를 부사장으로 데려와서 만든 작품이라는 거. 슈라이어가 처음부터 끝까지 쏘울 디자인을 맡은 건 아니지만, 그가 없었다면 쏘울이 나오기 힘들었을 수도 있죠.
기술의 기아, 디자인의 기아로 거듭나나
이 기사: 쏘울이 온전한 슈라이어의 작품이라 하기엔 힘들겠죠. 사실 저는 그가 와서 뭘 했는지 아직 잘 모르겠거든요. 그냥 짐작할 뿐이죠.^^
김 기사: 당장은 이름값이 크죠. 유럽에서 신차를 발표할 때 현지 기자들을 더 많이 불러모을 수 있는 효과도 있고^^.
이 기사: 슈라이어는 이른바 스타 디자이너니까. 1990년대 중반부터 2002년까지 아우디를 디자인했고. 그의 스타일은…. 김 기사: 심플과 독창성. 이 기사: 심플이라는 말에 함축돼 있죠. 기아에 와서는 직선의 단순화라는 디자인 철학을 내세웠고. 김 기사: 슈라이어가 기아에서 당장 뭔가를 하는 것보다는, 일단 그의 이름만으로 국산 자동차에서 디자이너에게 힘이 좀더 실릴 수 있다는 게 긍정적인 효과죠. 쏘울과 같은 경우도 보수적인 경영진이라면 쉽게 양산으로 이어지기 쉽지 않은 자동차거든요. 이 기사: 이번 쏘울 디자인은 매우 파격적이죠. 예전의 기아가 시도했을 만한. 현대 산하로 들어간 뒤 기아는, 뭐랄까, 제 색깔을 완전히 잃은 브랜드 같았거든요. 김 기사: 슈라이어를 데리고 올 때 기아로서는 나름대로 디자인 정체성을 구축하겠다는 욕심이 있었을 거예요. 쏘울의 마지막 단계에서 그의 스타일이 대폭 반영된 것 같아요. 그의 입김이 가장 많이 들어간 모델이자, 한국에서는 처음 보는 모델이고…. 이 기사: 여하튼 요즈음 나오는 기아차를 보면 점점 디자인을 내세우는 브랜드다워지는 것 같아요. 모하비, 포르테, 쏘울… 개성적인 기아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중이라고 할까? 김 기사: 어찌 보면 아이러니죠. 기아는 1980년대 한국을 대표하는 기술 브랜드였는데, 디자인에서 활로를 찾으니까. 슈라이어를 통해서 디자인 정체성을 확립하고, 나아가 브랜드 이미지까지 재정립하는 과제가 남았습니다. 이 기사: 예전 봉고가 그랬듯 차별화에서 살길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현대와 비슷하지만 현대보다 살짝 아쉬운 모델만 자꾸 내놓으면, 기아의 미래는 암울해지죠. 기아는 봉고 정신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김 기사: 봉고 정신! 1980년대 초반 경영난을 겪던 기아가 생면부지의 원박스카 봉고를 전격적으로 출시하며 엄청난 성공을 거뒀죠. 봉고의 성공을 크라이슬러의 부활로 비유하곤 했는데. 이 기사: 봉고 정신은 이후에 스포티지로 이어지죠. 스포티지는 세상에 없던 콘셉트의 차를 기아가 만들어낸 거예요. 개방성 강조한 실내공간 김 기사: 요즈음 대세인 콤팩트 에스유브이(SUV)! 이 기사: 봉고, 스포티지, 쏘울… 전 쏘울을 그런 의미로 기대합니다. 정말 기아다운 차가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 김 기사: 나는 쏘울을 직접 보기 전까지 닛산의 큐브를 떠올렸어요. 이 기사: 그런데 큐브와는 다르죠. 김 기사: 큐브가 냉장고 박스라면, 쏘울은 완충용 스티로폼이 잔뜩 들어간 컴퓨터 박스라고나 할까? 이 기사: 그러면서도 한편으로 큐브의 시장을 노리고 있죠, 젊은이들의 취향을 최대한 반영하고 있는 걸 보면. 그쪽 수요가 충분하다고 판단했겠죠. 개성을 살리면서 실용적인 차, 시유브이(CUV). 게다가 단순한 구조 위에 튜닝하고 드레스업하기 쉽게 만들었고. 김 기사: 쏘울에 실제 앉아 보니 겉보기에 비해 뒷좌석이 넓었어요. 천장도 높아서 심리적인 개방감도 크고.
|
넓은 뒷자석과 높은 천장이 개방감을 높인다. 위는 쏘울의 실내 모습.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