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 사망률 ‘동네 차별’ 미스터리. 그래픽 홍종길 기자 jonggeel@hani.co.kr
|
[뉴스 쏙]
암은 한국인의 저승사자다. 현재 한국인 사망원인 1위가 암이다. 지난해 총 사망자 24만명의 28%인 6만7천여명이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2위인 뇌혈관 질환의 세 배 가까운 수치다. 이 저승사자인 암을 들여다보면 한국 사회가 보인다. 암은 지역마다 전혀 다르게 활개를 치고 있기 때문이다. <한겨레>가 국내 최초로 지역별 암 사망률을 들여다봤다. 남성 연령표준화땐‘서울 최저…경남 최고’
‘부촌<빈촌’ 소득수준 격차
고스란히 드러나 부산은 간암 도시…
충북은 위암 사망률 최고
발병 부위별로는
통설로 풀기 힘든 의문점도 <한겨레>가 입수한 보건복지가족부의 ‘전국 암종류별 사망자 통계’(2007년)를 보면 한국인들의 지역별 암 사망자 지도를 그릴 수 있다. 이번 통계는 기존 언론에서 보도한 암통계가 지역별 암 사망자 수 정도를 추산하는 정도였던 것과 달리 암 종류별로 지역 사망자를 전수조사한 것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또 지역별 암 사망원인을 통계화한 것은 처음이다. 실제 통계를 보면 지역에 따라 사망률이 높은 암의 종류에 큰 차이가 나타났다. 그동안 통계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고소득지역보다 저소득 지역 암사망률이 높다는 상식적인 수준만 통계로 잡혔다. 그러나 <한겨레>가 입수한 지역별 암사망자 전수조사 통계는 의학적으로 쉽게 설명이 안 되는 부분도 찾을 수 있었다. 왜 부산에선 간암 사망률이 월등히 높으며, 전남에선 별로 없는 대장암이 왜 바로 옆 광주에선 많은 것일까? 충북지역은 유난히 위암사망자가 많아 남녀 모두 전국 최고 수준이다. 울산 남성의 전립선암 사망률은 가장 낮은 지역에 비해 세 배 수준이다. 여기에 의학적으로 아직 확실하게 풀이하기 어려운 새로운 의문들도 떠올랐다. 경남, 암 한참 진행된 뒤 발견되는 비율 높아 암에 대한 주요통계로는 우선 ‘사망자 수’가 있다. 지역별 인구 차이를 고려해 지역인구와 암사망자를 비교하는 ‘인구 10만명당 사망률’ 통계를 낸다. 이 통계 역시 지역마다 성별 구성, 세대 구성이 차이가 있어 연령 표준화 작업을 한다. 이 표준화 작업을 거친 뒤 지역별로 암사망률을 비교할 수 있다.
보건복지가족부가 박근혜 한나라당 의원에게 제출한 ‘2007년 전국 광역시도별 암 지역별 종류별 사망통계’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암으로 숨진 사람은 6만7561명이다. 이 가운데 남자가 4만2778명으로 63.3%를 차지했다. 여자는 2만4783명이었다. 사망률로 보면 전남이 10만명당 205.5명, 경북이 195.8명으로 각각 1, 2위였다. 암사망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울산과 경기로 각각 103명과 110명으로 나타났다. 전남과 경북의 절반 수준이다. 왜 전남과 경북의 암사망률이 높을까? 65살 이상 고령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20대와 70대의 암발생률 차이는 거의 100배에 이른다. 따라서 노령자가 많은 전남·경북 지역의 암사망률은 젊은 사람이 많은 경기·울산보다 높을 수밖에 없다. 전남 지역은 2002년 암발생률이 10만명당 344명으로 가장 높았고 울산 지역의 암발생률(176.3명)이 가장 낮았다. 좀더 정밀한 분석을 위해서는 연령 표준화가 필요하다. 연령 표준화를 하면 결과도 전혀 달라진다. 암사망자가 적었던 울산이 전국 4위의 암사망률 지역이 된다. 젊은 사람이 많아 암으로 숨지는 사람 수는 적지만 다른 지역보다 암 환자의 사망률은 높다는 뜻이다. 울산은 특히 폐암과 전립선암으로 인한 암사망률이 다른 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표준화를 거치면 경남이 10만명당 140.8명으로 가장 암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나왔다. 특이한 것은 경남 지역은 암발생률은 낮은데 사망률은 높았다. 이는 경남 암환자들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암이 한참 진행된 뒤 발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지역 사람들이 최대한 참다가 뒤늦게 검진을 받는 경향이 심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정했다. 이상이 제주대 교수는 “암은 소득 계층에 따라 사망률이 큰 편차가 있는 질병”이라며 “의료보험 제도로 병원을 찾아 갈 수 있는 진료의 평등은 이뤄졌지만 예방 차원에서는 불균형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
서울시 남성의 구별 연령표준화 암 사망률 비교
|
▶ 한나라 의원조차 “부끄럽고 착잡…살기 느꼈다”
▶‘닫힌 학교’ 앞 학생·교사들 눈물바다
▶정치인의 ‘몰래 과외’ 공부 비법도 제각각
▶현직 경관, 검찰 잘못된 수사 뒤집었다
▶머리채 뜯고 갈라선 민주 이미경-문팔괘 ‘5년만의 화해’
▶룸살롱 접대 늘려 ‘경기부양’?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