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숙취엔 찬물 말고 ‘북엇국’ 드세요
|
[건강한 세상]
술은 대인(對人)음식이라고 한다. 주로 사람과 사람이 만나 먹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살이에 꼭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인류 역사에서 술이 없었으면 지금보다 다툴 일이 적었고 ‘술병’으로 고생도 덜했을 것이다. 디오니소스 신의 축제가 너무 문란해 비극 상연으로 진정시켰다니 술은 이성을 마비시키는 특별한 기능(?)이 있음이 확실하다. 술이 모두 해악만을 끼치지는 않는다. 좋은 사람들과 기분 좋게 마시면 적당히 흥취를 돋워 관계를 더욱 돈독하게 할 수도 있다. 두주불사의 낭만 시인 이태백은 대단한 술 예찬론자였다. 술 없이 그렇게 멋진 시들이 나오기 힘들지 않았을까? 공자는 술의 양은 상관없지만 정신을 어지럽힐 정도로 마셔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한때 술 소비량이 세계 1위였을 정도로 우리나라 사람들은 술을 좋아한다. 친교에 술만큼 좋은 것이 없다. 어려운 얘기를 해야 할 때, 낯선 이와 마주앉아 특별히 할 말이 없을 때 술은 큰 구실을 한다. 술로 일이 술술 풀리기도 한다. 그러나 문제는 술이 일단 들어가면 아무리 공자님 같은 분이라도 절제가 힘들어진다는 것이다. 그래서 적당히 덕을 보지만 결국 해를 입게 된다. 담은 커야 하고 마음은 조심하는 게 좋다는 말이 있다. 담은 감정을 잘 조절하니 담이 클수록 판단력이 정확해지고 마음은 열이 많으니 항상 조심하라는 뜻이다. 그러나 술에 취하면 담은 작아지고 마음은 넘쳐 실수를 하게 된다. 술은 혈맥을 잘 통하게 해주고, 근심을 줄여주고, 흥은 더해 주며, 적게 마시면 정신을 굳세게 해주지만 많이 마시면 명을 줄인다고 했다. 아무리 술을 이해하고 사랑해도 좋은 음식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술은 가능하면 피하는 게 좋다. 한의학은 ‘술병’을 치료할 때 위에만 문제가 있는지 간에도 문제가 있는지 구분해 치료한다. 술로 인한 위병은 발산과 이수도(利水道-소변을 시원하게 보게 하는 치료법)를 시키면서 영위 소통을 시켜준다. 술 마신 다음날 운동으로 땀을 빼면 발산과 이수도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간의 병은 간신의 기능을 살펴 피를 맑게 한다. 숙취에는 북어에 콩나물과 무를 넣고 푹 끓여 먹는 것이 가장 무난하다. 물고기는 육류보다 성질이 담백하고 서늘해서 술로 인한 염증을 달래준다. 잘 붓는 사람은 팥이나 호박을 달여 먹는 것도 도움이 된다. 숙취 때 찬물은 좋지 않다. 술로 인해서 혼탁해진 피를 차게 해 위나 간에 염증을 만들기 쉽기 때문이다. 이제는 대인음식을 줄여야 한다. 술의 힘을 빌리지 않고 살 수 있는 사회가 몸도 마음도 건강한 사회일 테니 말이다. 고광석/대명한의원장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