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6.14 19:39 수정 : 2010.06.14 19:39

[건강한 세상] 유전성 질환…수술시 실명 가능성

라식, 라섹 등 레이저를 이용한 시력교정수술을 받으면 실명 가능성이 있는 아벨리노 각막 이상증에 해당하는 사람이 우리나라 국민 870명 가운데 1명꼴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아벨리노 각막 이상증은 눈의 검은자위 표면에 흰 반점이 생기면서 점차 혼탁이 발생해 결국 실명할 수도 있는 유전성 질환이다.

김응권 세브란스병원 안과 교수팀은 최근 국내 안과병원을 찾은 16가족(22명)을 대상으로 한 검사 자료를 우리나라 전체 인구에 대비시키는 방법으로 아벨리노 각막 이상증의 유병률을 분석한 결과, 우리 국민 1만명 가운데 최소 11.5명이 이 질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870명 가운데 1명꼴인 셈이다. 이번 연구에는 서울대, 연세대, 가톨릭대, 성균관대, 인하대 등과 함께 미국 에모리대 의대 통계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했으며, 이 연구 결과는 안과 분야 세계적 논문집인 <안과역학지> 6월호에 실렸다.

김 교수는 “아벨리노 각막 이상증과 관련된 유전자와 정상유전자를 함께 물려받아 반씩 섞인 이형접합자인 사람은 약 12살부터 각막에 흰 점이 생기기 시작해 60살부터는 레이저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며 “이 이형접합자가 시력 교정을 위해 라식이나 라섹 등 레이저 수술을 받을 때 각막 혼탁으로 실명할 수도 있는 만큼 수술 전 안과적 또는 유전적 검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한 쌍의 유전자 모두가 아벨리노 각막 이상증 유전자로 이뤄진 동형접합자는 약 3살부터 증상이 나타나 6살 정도에는 실명에 이른다. 김 교수는 “아벨리노 각막 이상증은 라식, 라섹 등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더라도 나이가 들면서 점점 각막 혼탁이 심해진다”며 “이에 대한 검진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