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약·신기술이 더 낫다는 보장 없다
|
[건강한 세상]
김양중의 건강수첩 / 건강 관련 뉴스에 관심을 갖다 보면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어느 병원에서 ‘국내 혹은 세계 최초 ○○수술 성공’ 이라는 제목의 소식이다. 최근에도 지방의 한 대형병원이 개원 뒤 첫 간 이식 수술을 성공했다며 언론에 이를 알렸고, 많은 보도가 뒤따랐다. 지난달 말에는 서울의 한 대학병원의 흉부외과 교수팀이 심장까지 전이된 간암 수술에 성공했다는 소식도 널리 알려졌다. 국내의 병원에서 한 첫 수술만 널리 알려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 나라의 첫 수술에도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달 초에는 프랑스의 한 병원에서 100% 안면 이식수술을 했으며 이는 세계에서 첫번째로 성공한 것이라는 소식을 여러 국내 언론이 다룬 바 있다. 첫번째 ○○수술 성공과 함께 흔히 보도되는 소식 가운데 하나가 신약에 대한 소개다. 신약이 시판된다는 소식은 물론, 예를 들면 기존의 백혈병 치료제를 대체할 만한 신약이 곧 출시된다는 소식도 곧잘 소개된다. 심지어는 신약이 개발돼 그 효과와 안전성 등을 확인하기 위한 임상시험에 돌입했다는 소식까지도 쉽게 볼 수 있다. 이런 첫 수술 성공이나 신약 출시 등의 소식을 들은 독자들은 해당 병원의 수술 성적이 우수하거나 신약이 기존 약보다 훨씬 효능이 좋다고 생각하기 쉽다. 또 언론들이 그렇게 판단했기 때문에 이런 소식들을 싣는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뉴스를 다루는 언론의 입장에서는 첫 수술 성공이나 새로운 약이 그야말로 ‘뉴스’(news) 즉 새로운 소식이기 때문에 이를 전달하는 언론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환자들로서는 새로운 약이 기존에 나와 있는 약보다 더 효능이 우수한지에 대해 더 알고 싶을 텐데, 이런 연구 결과는 거의 없기 때문에 언론이 알리고 싶어도 알릴 수가 없다. 오히려 기존에 나와 있는 상당수의 약들이 효과와 부작용이 더 널리 알려져 있는데다가, 값도 신약보다 많이 저렴해 더 낫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